(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 인공지능(AI)·과학기술·우주항공방위산업소위가 1일 과학기술 외교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황정아 위원을 비롯한 기획, 전문위원과 과학기술계 연구 현장의 다양한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미래 기술주권 확보를 위한 과학기술 외교의 국정방향을 두고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참석자들은 인공지능, 양자, 바이오 등 핵심 원천기술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통해 우리의 역량을 보완하고, 글로벌 패권 경쟁 속에서 글로벌 공급망과 국제사회 논의에 적극 참여해 글로벌 연구산업 생태계에 포함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이같은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미래 기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외교를 강화하고 범부처 차원의 과학기술 거버넌스를 조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범부처, 전문기관, 연구기관 간 일관적인 협업 △지속 가능한 국제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관련 법 제정 △기구축된 과학기술 민·관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과학기술 전문부처·전문가 중심의 과학기술외교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외에도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기술 동향에 발맞춰 국가별 ·기술별 과학기술 국제협력 전략성을 강화하고, 글로벌 R&D 및 국가 간 교류 확대에 따라 우리 연구 자산과 핵심 인력 유출 방지를 위한 다층적 연구안보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마지막으로 과학기술 분야의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국제 문제 해결에 기여함으로써 국가 위상을 제고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이준석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는 대선 정책공약으로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범부처 전략 수립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글로벌 공동연구 지원과 국제 사회의 논의에 적극 참여하는 것을 제시한 만큼 오늘 논의한 내용들이 충실히 국정과제에 담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ri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