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열분해 기술 활용과 정책과제' 보고서에는 대표적인 화학적 재활용인 열분해 기술을 탄소중립과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핵심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실렸다.
열분해 기술은 플라스틱‧타이어‧바이오매스 등 다양한 유형의 폐기물을 처리하고, 오일·수소·가스 등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할 수 있어 향후 유망한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떠올랐다.
특히 플라스틱 자원순환에 있어 기존 물리적 재활용의 단점을 보완하는 대표적인 화학적 재활용으로 주목된다. 기존의 매립·소각에 비해 환경부하가 적은데다, 미래의 자원고갈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폐플라스틱 열분해 시장의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다.
다국적 회계감사 기업인 PwC(2022)에 따르면 글로벌 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은 2020년 395억달러에서 2027년 638억달러로 60% 이상 큰 폭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다국적 컨설팅전문회사 McKinsey&Company(2018)도 플라스틱 폐기물의 열분해 기반 화학적 재활용 시장이 2016년 대비 2030년에 254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원은 열분해 기술 등 탄소중립 핵심기술 활용은 산업부문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강조한다.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통해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 미래 유망 산업 중심으로의 산업구조 개편을 가속할 수 있다. 산업공정 내 폐자원 재활용은 폐기물 저감·에너지 절감·생산비용 절감 등으로 이어지고, 기업의 순환경제 전환과 ESG 경영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이미 바스프(BASF), 쉘(Shell), LG화학, SK지오센트릭 등 글로벌 선도 화학·정유기업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연구원은 또 열분해 기술에 대한 산업정책적 접근을 통해 탄소중립 산업구조 전환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과학기술 기반 탄소중립 실현과 열분해 기술 사업화를 위해서 정부의 R&D 지원 확대는 물론 세금 공제·보조금·저금리 대출 등 재정적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초기 자본 비용, 기업화 및 산업화 등의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도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산업계에는 열분해 기술의 전략적 활용을 주문했다. 자발적인 기술 잠재력 극대화, 제품 다각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 화학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선제적이고 능동적인 대응을 강조했다.
이상원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탄소중립 미래 핵심기술이자 신성장동력이 될 열분해 기술에 대해 산업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R&D 투자 및 재정적 인센티브 확대, 열분해 제품 사용 장려, 공공조달 확대, 지적재산권 보호 등의 시장 활성화 방안 마련, 지역 일자리와 경제적 기회 창출 등 적극적인 정책지원도 뒷받침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euni121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