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인 국립현대미술관에 대한 특정감사 결과 16건의 위법·부당 업무처리가 확인된 가운데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이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2023년 전시 및 중점사업 언론공개회에서 전시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2023.1.10/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
지난 1월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립현대미술관 특정감사 결과가 사실상 직접적인 사퇴 촉구로 읽혔음에도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던 윤 관장이 이후에도 계속되는 압박에 더는 버틸 여력이 없었다는 게 미술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13일 미술계 관계자에 따르면 윤 관장은 최근 박보균 문체부 장관을 독대해 사의를 표명했다. 문체부는 이에 대해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밝혔으나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하지는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윤 관장을 둘러싸고 알박기니 코드인사니 그동안 숱한 논란이 있지 않았느냐"며 "사퇴할 사람이 사퇴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도 이미 늦은 시점"이라고 했다.
윤 관장은 문재인 정부 때인 2019년 2월 임명됐다. 미술계에서는 당시 윤 관장의 임명을 두고 '코드 인사', '낙하산 인사'라는 말이 돌았다.
그는 미술관장 공모 과정에서 역량평가를 통과하지 못했지만 재평가 과정을 거쳐 최종 합격했다. 최종 후보 3명 중 유일하게 역량평가를 통과했던 이용우씨는 탈락했다. 이씨는 입장문을 내고 "공개 모집 제도가 비공정성으로 얼룩졌다"고 비판했다.
윤 관장이 재평가를 통해 관장에 오를 수 있었던 결정적인 배경에는 미술계의 대표적인 진보 진영 인사라는 점이 꼽혔다.
그는 1980년대 민중미술 운동의 중심에 있었던 '현실과 발언' 창립멤버로, 2014년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책임 큐레이터로 재직했을 때 박근혜 당시 대통령을 풍자한 홍성담의 걸개그림 '세월오월' 전시를 막는 광주시와 갈등을 빚다가 사퇴하기도 했다. 가까이 지내는 이들 대부분도 민중 미술계 인사들이다.
![]() |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립중앙박물관 등 산하기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안경을 고쳐 쓰고 있다. 2022.10.18/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
실제 지난해 10월 국회에서 열린 국립현대미술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은 문재인정부의 '알박기' 인사를 비판하며 윤 관장이 자진사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용 국민의힘 의원은 당시 "국립현대미술관을 둘러싸고 여러 문제가 있었지만 (문재인) 정권의 비호를 받고 재임용됐다"며 "언론에서도 전형적인 '알박기'란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수행실장을 맡아 윤 대통령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한 인물로 대표적인 친윤계 의원이다. 같은당 이용호 의원도 "논란의 중심에 있는 윤 관장이 재임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했다.
문체부는 여당의 강도 높은 압박과 직장 내 괴롭힘, 부당 인사 논란 등을 이유로 국립현대미술관에 대한 특정감사를 실시했다. 문체부는 지난 1월9일 결과를 공개하면서 16건의 위법·부당 업무 처리를 적발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윤 관장이 기관장으로서의 직무를 소홀히 하고 있음이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윤 관장은 다음날인 10일 기자들과 만나 "감사 지적을 당해서 안타깝다"면서도 "열심히 하라는 채찍과 격려로 알겠다"며 사퇴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하기도 했다.
ic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