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성=뉴스1) 윤원진 기자 = 충북 음성천연가스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주도권을 놓고 주민 간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민 갈등이 깊어지기 전에 음성군의 중재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마을지원사업 벌써 '불협화음'
음성천연가스발전소 건립 예정지 인근 마을에서는 최근 주민 갈등이 일고 있다.
지난달 주민 A씨가 이장 B씨를 명예훼손 혐의 등으로 경찰에 고발했다. 마을 총회 때 피해 보상금이 나왔다는 데 따져 물으니 이장 B씨가 주민 앞에서 욕설하며 모욕을 줬다는 이유에서다.
이달에는 천연가스발전소 건설 현장 함바 식당 운영업체 선정을 놓고 잡음도 나오고 있다. 근로자 1명당 식비에서 1200원씩 주민지원비로 떼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회계 처리와 부가세는 어떻게 처리할지 궁금하다는 게 업계의 우려다.
천연가스발전소 건설을 추진하는 동서발전은 주민지원사업 차원에서 함바 식당 운영권을 주민에게 줬다.
◇천연가스발전소 지원사업 규모는
음성천연가스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규모는 150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매년 4억원 정도씩 추가 지원한다.
천연가스발전소가 현재 2기에서 4기로 늘어나면 지원 기간은 50년 이상 될 수도 있다.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을 보면 발전소를 기준으로 5㎞ 반경 지역이 지원 대상이다.
지원사업은 발전소별로 사업심의지역위원회가 심의한다. 지원사업 시행자는 자치단체나 발전사업자, 법인 등이다.
음성은 마을주민이 직업 지원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발전소 인근 6개 마을 이장단과 청년연합회가 각각 조합을 설립한 상태다.

◇다른 지역 사례는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사업을 모범적으로 추진하는 곳은 당진시개발위원회다.
당진화력발전소 주변지역 주민은 ㈔당진시개발위원회를 구성해 지원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발전소 건설 단계에서는 당진시가 지원금을 받아 문화의 전당, 종합운동장, 버스터미널 개선 사업 등에 사용했다.
그러다가 1999년 1호기 가동 때부터 주민이 개발위원회를 만들어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당진도 개발위원회 구성 당시 음성처럼 주민 간 갈등이 있었지만, 충남연구원에 의뢰해 합리적 방안을 찾았다.
주민끼리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따르기로 했고, 연구원은 발전소와의 거리, 면적, 인구 등에 가중치를 두는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 기간은 2개월 정도 걸렸다.
신완순 당진시개발위원회 사무국장은 "지원사업은 첫째가 공익을 먼저 생각해 골고루 혜택을 누리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장단과 청년연합회, 주민 주장은
이장단 관계자는 "천연가스발전소 반대 투쟁도 6개 마을에서 처음 시작하고 주도한 만큼, 6개 마을이 우선적으로 혜택을 받는 게 맞다"라고 말했다.
청년연합회 관계자는 "지원사업은 지역사회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공감대 형성이 먼저"라면서 "지원사업 반경에 포함되는 모든 마을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노력하겠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최소한 심의위원회에 청년 대표는 포함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음성읍의 한 주민은 "인내심 갖고 지켜보고 있다"라며 "뭐가 됐든지 한쪽만의 주장이 담긴 지원사업 추진은 어려워 보인다"라고 말했다.
음성천연가스발전소는 음성군이 2017년 주민 1만여 명의 동의를 받아 유치했다. 발전소 인근 6개 마을 반대로 2022년 11월에야 착공했다.

blueseeking@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