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14호 태풍 난마돌 예상 경로(기상청 제공) |
제14호 태풍 난마돌이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해상에서 북서쪽으로 향하며 오는 19일쯤 국내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 해상 등 바다에서는 높은 파도가 예상돼 주의가 요구된다.
제12호 태풍 무이파는 14일 오후 9시쯤 중국 상하이 남쪽을 통해 육상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는 무이파의 간접 영향으로 제주도에 최대 40㎜의 비가 내리겠다. 제13호 태풍 므르복은 일본 동쪽 먼바다에서 북상 중이라 국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14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 발생한 태풍 난마돌은 오전 9시 기준 일본 오키나와 동남동쪽 약 1370㎞ 부근 해상에서 시속 5㎞의 속도로 동진 중이다. 중심기압은 994hPa(헥토파스칼), 강풍반경은 240㎞, 최대풍속은 시속 76㎞로 관측됐다.
난마돌은 오는 17일 기차가 탈선할 수준인 태풍 강도 '강'으로 발달하고 오는 19일에는 일본 가고시마 서쪽 약 280㎞ 부근 해상까지 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19일 기준 난마돌의 중심기압은 970hPa, 강풍반경은 350㎞, 최대풍속은 시속 126㎞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17일부터 제주도 해상과 남해상에, 19일부터는 서해 남부 해상과 동해상에 물결이 2.0~6.0m로 매우 높게 일겠다고 예보했다.
기상청은 "태풍 난마돌이 19일 오전 3시쯤 제주 서귀포 남남동쪽 280㎞ 해상까지 접근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4~5일 후 태풍 위치가 유동적일 수 있으니 이후 발표되는 기상정보에 유의해 달라"고 당부했다.
![]() |
제12호 태풍 무이파 예상경로(기상청 제공) |
제12호 무이파는 오전 9시 기준 중국 상하이 남남동쪽 해상에서 시속 20㎞의 속도로 북서진 중이다. 중심기압은 965h㎩, 최대 풍속은 시속 133㎞, 강풍반경은 220㎞다.
무이파는 오후 9시쯤 중국 상하이 남쪽 약 160㎞ 지점을 통해 육상할 전망이다. 이후 북서진한 무이파는 상하이를 통과한 뒤 17일 오전 9시쯤 중국 칭다오 서북서쪽 190㎞ 지점에서 열대저압부로 약화하겠다.
국내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무이파가 북상하며 우리나라에 유입된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기존의 건조한 티베트 고기압과 부딪혀 제주도에 최대 40㎜의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므르복은 이날 오전 3시 기준 괌 북동쪽 약 2340㎞ 부근 해상에서 시속 14㎞로 북진 중이다. 이 태풍은 16일 오전 일본 도쿄 북동쪽 약 2750㎞ 부근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소멸할 전망이다.
Kri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