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구경진 기자 =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이 난항에 빠지면서 중동 전역에 전운이 감돌고 있습니다. 이란은 충돌이 발생할 경우 중동 내 모든 미군 기지를 타격하겠다고 경고했고, 미국은 외교관과 군 가족 철수에 서두르며 사실상 전시 대응에 돌입한 모습인데요. 이스라엘 역시 최고 수준의 군사적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12일(현지시간) 미 국무부와 국방부는 중동에서 작전 필수 인력이 아닌 인원들의 철수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라크 바그다드 주재 미국 대사관은 비필수 인력 전원에 대해 철수를 명령했고 바레인과 쿠웨이트 등지에 주재 중인 인력과 그 가족들에게도 철수 조치를 내렸습니다. 미 국방부도 중동 각지에 주둔 중인 미군 가족의 자진 대피를 승인했습니다.
중동 주재 한 고위 외교관은 “이번 상황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심각하다. 매우 우려되는 상황으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11일 아지즈 나시르자데 이란 국방장관은 “충돌이 강요된다면 미군 기지를 타격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엄포를 놓았는데요. 이어 “전쟁이 벌어진다면 미국은 이 지역을 떠나야 할 것”이라며 “모든 기지가 우리의 사정권 안에 있으며 필요할 경우 주저 없이 타격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또 최근 이란이 2톤급 탄두를 장착한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사실도 공개하며 외부의 그 어떤 제약도 수용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란의 심상치 않은 움직임에 미국은 군사적 대응을 검토하며 대비 태세에 들어갔습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12일 열린 의회 청문회에서 “이란이 핵무기에 매우 가까운 무언가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징후를 다수 포착했다”고 경고했습니다. 마이클 쿠릴라 중부사령관은 협상이 결렬될 경우를 대비한 군사 옵션을 트럼프 대통령과 헤그세스 장관에게 제출했다고 밝혔죠.
1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은 위험한 곳이 될 수 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두고 보자”며 “이란은 핵무기를 가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는데요. 앞서 뉴욕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는 “이란이 농축프로그램을 전면 중단하라는 요구에 응할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다”며 “계속 협상을 지연시키는 듯해 매우 유감스럽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는 이란이 협상에 응하지 않을 경우 군사 행동을 취할 수 있다고 수차례 경고한 바 있죠. 최근에는 SNS에 “앞으로 며칠 안에 미 육군은 다시 한번 영광을 쌓을 것”이라며 군사 행동을 암시하는 듯한 글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서방 정보당국은 이란이 협상 시간을 벌며 핵 관련 시설을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향후 이스라엘이나 미국의 공격 효과를 약화시키기 위한 전략적 조치라는 것인데요. 이란은 올해 초 지하에 구축된 군사 기지들을 영상으로 공개했고 기존 핵시설인 포르도보다 더 깊은 산악 지대 아래에 나탄즈 핵시설을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스티브 위트코프 미 중동 특사는 15일 오만에서 이란과 6차 핵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중동 정세가 일촉즉발의 긴장 국면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협상이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이란 #핵협상 #미국
12일(현지시간) 미 국무부와 국방부는 중동에서 작전 필수 인력이 아닌 인원들의 철수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라크 바그다드 주재 미국 대사관은 비필수 인력 전원에 대해 철수를 명령했고 바레인과 쿠웨이트 등지에 주재 중인 인력과 그 가족들에게도 철수 조치를 내렸습니다. 미 국방부도 중동 각지에 주둔 중인 미군 가족의 자진 대피를 승인했습니다.
중동 주재 한 고위 외교관은 “이번 상황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심각하다. 매우 우려되는 상황으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11일 아지즈 나시르자데 이란 국방장관은 “충돌이 강요된다면 미군 기지를 타격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엄포를 놓았는데요. 이어 “전쟁이 벌어진다면 미국은 이 지역을 떠나야 할 것”이라며 “모든 기지가 우리의 사정권 안에 있으며 필요할 경우 주저 없이 타격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또 최근 이란이 2톤급 탄두를 장착한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사실도 공개하며 외부의 그 어떤 제약도 수용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란의 심상치 않은 움직임에 미국은 군사적 대응을 검토하며 대비 태세에 들어갔습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12일 열린 의회 청문회에서 “이란이 핵무기에 매우 가까운 무언가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징후를 다수 포착했다”고 경고했습니다. 마이클 쿠릴라 중부사령관은 협상이 결렬될 경우를 대비한 군사 옵션을 트럼프 대통령과 헤그세스 장관에게 제출했다고 밝혔죠.
1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은 위험한 곳이 될 수 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두고 보자”며 “이란은 핵무기를 가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는데요. 앞서 뉴욕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는 “이란이 농축프로그램을 전면 중단하라는 요구에 응할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다”며 “계속 협상을 지연시키는 듯해 매우 유감스럽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는 이란이 협상에 응하지 않을 경우 군사 행동을 취할 수 있다고 수차례 경고한 바 있죠. 최근에는 SNS에 “앞으로 며칠 안에 미 육군은 다시 한번 영광을 쌓을 것”이라며 군사 행동을 암시하는 듯한 글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서방 정보당국은 이란이 협상 시간을 벌며 핵 관련 시설을 보완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향후 이스라엘이나 미국의 공격 효과를 약화시키기 위한 전략적 조치라는 것인데요. 이란은 올해 초 지하에 구축된 군사 기지들을 영상으로 공개했고 기존 핵시설인 포르도보다 더 깊은 산악 지대 아래에 나탄즈 핵시설을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스티브 위트코프 미 중동 특사는 15일 오만에서 이란과 6차 핵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중동 정세가 일촉즉발의 긴장 국면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협상이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이란 #핵협상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