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윤지원 기자 = 국내 콘텐츠 산업의 성장으로 제작비는 2배 이상으로 커진 반면 투자는 미흡해 투자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26일 미디어미래연구소는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콘텐츠 투자 재원 제도 개선 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콘텐츠 업계에 따르면 2년 전 회당 약 10억원에 달했던 국내 드라마 평균 제작비는 최근 편당 20억원으로 집계돼 약 2배로 뛰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지속 가능한 콘텐츠 산업 생태계를 위해 충분한 투자금이 조달돼야 한다고 호소한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이찬구 미디어미래연구소 연구위원은 "투자가 곧 경쟁력이 됐다"며 "넷플릭스가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던 시작점은 콘텐츠 제작 투자"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콘텐츠 산업은 불확실성이 있기 때문에 투자한 만큼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 고민이 있어 투자가 적었다"면서도 "그러나 최근 3~4년간 국내 콘텐츠 성과는 우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기업 등 거대 민간 자본의 투자 유도, 글로벌 국부 펀드 유치, 제작비 공제율 상향 등을 투자 활성화 방안으로 제안했다.
발제를 맡은 변성규 호서대학교 교수는 "방송 사업 매출의 한계가 국내 방송 영상 콘텐츠 산업의 만성적인 재원 부족을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변 교수는 특히 이동전화, 인터넷, IPTV 등의 결합 상품이 방송시장 저가 구조를 고착화하고 콘텐츠 산업 육성을 저해한다고 지적했다.
또 방송 광고 규제 완화를 위해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네거티브 규제 체계'를 조속히 시행해야 한다고 봤다.
이성엽 고려대학교 교수는 "K-콘텐츠가 잘 나가긴하지만 '오징어게임'과 같이 수익이 전부 글로벌 OTT로 넘어갈 수도 있다"며 제작비 세액 공제, 방송 소유 규제 완화 등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부도 투자 활성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공감했다.
채창렬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정책과 사무관은 "정부가 정책 금융 등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면서도 "2024년에는 정책 금융 1조원을 목표로 예산 편성 세부 과정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기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미디어정책과장은 "펀드, 세제 지원 등의 지원책은 제작사에 한정하지 말고 전체 방송 산업계로 확대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며 "전향적으로 방송 산업계에 적용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g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