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24일 통일부의 명칭을 '남북협력부' 등 남북의 교류와 협력을 부각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이날 오후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해 서울 종로구 삼청동 통일부 남북관계관리단으로 출근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1969년 독일의 빌리 브란트 정권이 들어섰을 때 먼저 취한 조치가 '할슈타인 원칙'의 폐기"라면서 이렇게 밝혔다.
정 후보자는 이어 "서독은 동독과 외교 관계를 맺은 나라와 수교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폐기했고, 동독을 '괴뢰'로 규정했던 것에서 동독의 국가성을 인정하면서 당시에 '연방전(全)독일문제부'(전독부)를 동·서독의 관계를 관리한다는 '연방양독관계부'(내독부)로 바꿨다"라면서 통일부의 이름도 비슷한 논리에 따라 '남북관계부'나 '남북교류협력부'로 변경하는 것에 찬성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우리 입장에서는 한반도의 평화가 곧 통일"이라면서 "통일은 마차고 평화는 말이다. 마차가 앞에 가서는 말을 끌 수가 없고 말이 앞에 가야 마차를 끌어갈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평화를 정착해 평화 체제를 만드는 것이 5000만 국민의 지상 명령이고 또 한반도에 살고 있는 모든 구성원, 우리 민족의 지상 과제"라고 말했다.

이날 정 후보자는 북미 대화를 '적극 지지'한다면서도 북미 대화를 위해 '선(先) 비핵화'를 선제 조건으로 걸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북미 대화는) 부시 행정부, 오바마 행정부는 시도하지 않았던, 트럼프 대통령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총비서와의 대화와 정상회담이 이루어질 것이고, 이루어져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날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가 한국언론진흥재단 포럼에서 북한의 '선(先) 비핵화'를 대화의 전제 조건으로 거는 것이 효과적이지 않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당연한 이야기"라고 평가했다. 윤 대사대리는 앞서 포럼에서 "비핵화는 여전히 가장 중요한 목표지만, 초기 협상에서 이를 전면에 내세우는 접근이 반드시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더욱 영리한 접근이 필요하다"라고 언급했다.
정 후보자는 "비핵화를 논의하지 않겠다는 것과, '선 비핵화'를 이야기하지 않겠다는 것은 엄청 다른 입장"이라며 북한과의 단계적 협상(스몰딜)을 통한 비핵화 달성이라는 현재 미국의 기조와 박자를 맞췄다.
정 후보자는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가장 시급한 일로는 '신뢰를 쌓는 것'을 꼽으며 "신뢰를 바탕으로 금강산관광, 동서 철도 연결, 개성공단 가동"이 있었다면서 "지난 6년간 비정상적이던 남북 단절 상태, 소통 부재를 해소하는 게 첫 번째 과제"라고 강조했다.
전날인 23일 통일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정 후보자는 노무현 정부 때인 2004년 7월부터 이듬해 12월까지 제31대 통일부 장관을 지냈다. 정 후보자는 북핵 6자회담이 멈췄던 2005년 6월 방북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독대해 6자회담 복귀를 설득한 바 있다.
somangchoi@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