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99 상온초전도체 착각?…불순물 황화구리 특성에 무게

네이처, LK-99 초전도체 아니라는 다수 검증 연구 보도

LK-99의 초전도체 특성을 주장한 영상 캡쳐 (사이언스 캐스트(Science Cast)의 김현탁 계정에 올라온 영상 갈무리) 2023.08.02 /뉴스1
LK-99의 초전도체 특성을 주장한 영상 캡쳐 (사이언스 캐스트(Science Cast)의 김현탁 계정에 올라온 영상 갈무리) 2023.08.02 /뉴스1

(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LK-99의 초전도성이 불순물로 인한 착각이며 불순물이 없으면 절연체 특성을 나타낸다는 주장이 나왔다.

16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LK-99의 초전도성을 검증한 세계 연구진의 연구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독일 막스 플랑크 고체 연구소는 14일 순수한 LK-99 단결정을 합성하고 분석한 결과를 논문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arXiv)에 공개했다. 독인 연구진은 퀀텀에너지연구소가 제시한 굽는 방식이 아니라 부동 영역 결정 성장법을 이용했다.

그 결과 LK-99 논문에서 제시한 화학식에 맞는 투명한 자주색 결정이 생겼다. 이 결정은 초전도체가 아니라 저항이 매우 큰 절연체 특성을 나타냈다.

독일 연구진은 논문에서 "영하 271도에서 영상 526.85도에 이르는 자기 측정에서 약간의 강자성과 절연체에서 나오는 반자성 특성이 나왔다"며 "우리는 해당 결정에서 초전도성의 존재를 배제한다"고 밝혔다.

LK-99의 초전도성을 주장한 퀀텀에너지연구소는 논문에서 한 샘플의 저항 관련 측정치가 104.8도에서 급격히 변하는 현상을 보고했다.

네이처는 이 현상이 불순물에서 비롯됐을 것이라는 시각을 전했다.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섐페인 대학의 프라산트 제인(Prashant Jain) 연구원이 9일 arXiv에 관련 논문을 업로드했다. 이 논문에서는 LK-99에 황화구리가 포함되며 이로인해 104도 부근에서 급격한 물성 병화가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했다.

아울러 중국과학원(CAS) 연구팀은 8일 LK-99의 황화구리 불순물의 함량에 따른 특성 분석 결과를 arXiv에 올렸다. 이 연구팀은 황화구리 불순물이 포함된 LK-99가 특정한 온도 부근에서 초전도체와 비슷한 현상이 나타났지만 일정 온도 이하에서 저항이 0이 되는 특징을 관찰했다.

네이처는 이러한 연구 결과와 관련해 퀀텀에너지연구소 등에 의견을 요청했지만 대답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seungjun241@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