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2045년에는 화성에 태극기를 꽂을 것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28일 한국 역사 최초의 태양계 행성 탐사인 '화성 착륙'에 나선다고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2012년 박근혜 당시 대선 후보(새누리당)가 "2020년 달에 태극기가 펄럭이게 하겠다"고 공약한 지 10년 만이다.
현재, 아직 태극기는 달에 꽂히지 못했다. 다만 달 탐사선 '다누리'가 달을 향해 가고 있고, 다누리가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2030년대에 달 착륙에 도전하게 된다. 박근혜 정부의 목표에서 약 10년 이상 지연된 것이다.
달 탐사 사업은 정권에 따라 계획이 계속 바뀌어 오는 혼란을 겪었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7년 일본과 중국은 각각 달 탐사 위성을 발사했다. 같은 해 6월 정부는 우주개발 진흥기본계획을 세웠고 달 탐사 계획을 포함한 장기 우주 과학 사업이 포함됐다. 당시 계획으로는 2020년 궤도선 발사, 2025년 국내 발사체를 이용한 달 착륙이 목표였다.
2012년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대선 후보는 달 탐사 계획을 3,5년 앞당겨 달 궤도선을 2017년 발사로, 달 탐사선 착륙을 2020년으로 정했다. 이때 과학기술계에서는 무리한 사업 변경이라는 비판적 시각도 있었지만, 정부의 의지가 관철됐다.
과학기술계의 우려대로 결국 박근혜 정부의 달 탐사 계획은 성공하지 못했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적폐 청산'의 도마 위에 올랐다. 2017년 국정감사에서 국회의원들은 달 탐사 사업을 정치적 목적의 연구로 단정하고 사실상 실패한 사업으로 규정하기도 했다.
2018년 2월 문재인 정부의 첫 우주개발 기본계획인 '제3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이 확정됐고 달 궤도선은 2020년까지, 달 착륙선은 2030년대로 미뤄졌다. 그러나 이마저도 2019년 기술적인 문제로 달 궤도선의 발사가 2022년으로 바뀌었다.
과학기술계에서는 이같은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전문성 있는 '우주 전담 조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장기적으로 추진되는 우주 프로젝트의 담당자가 순환보직에 의해 2~3년 만에 바뀌다 보니, 정책의 전문성과 일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것.

이에 2022년 대선에서 주요 후보들은 우주 전담 조직 신설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2045년 화성 착륙' 목표와 함께, 우주항공청 신설을 위한 준비 조직 출범을 발표했다. 또 기존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던 '국가우주위원회'를 직접 주재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2023년말 우주항공청을 출범시키고 이곳에서 우주항공정책을 수립하고 연구개발과 기술확보를 주도할 것"이라며 "직접 국가우주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아 우주경제의 시대를 착실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2045년 화성 착륙 사업은 12월에 확정될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반영돼, 좀 더 상세한 계획이 발표될 전망이다.
윤 대통령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성공한 나라가 우주를 꿈꾸는 것이 아니라 우주를 꿈꾸는 나라가 성공한 나라가 될 것"이라며 "미래 세대에게 화성의 터전을 선사하고자 하는 우리의 꿈과 희망은 우리 모두의 노력을 통해 반드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seungjun24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