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일본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설비 시운전에 돌입하면서 올 여름 방류가 가시화되고 있다. 우리 정부가 지난달 오염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파견한 시찰단의 최종평가는 아직 나오지 않아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오염수 방류가 한일관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테레비유 후쿠시마' 등 일본 매체들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을 운용하는 도쿄전력은 12일부터 2주간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 설비 시운전을 시작한다.
도쿄전력은 시운전을 통해 해저터널을 통해 방사성 물질이 없는 물과 해수를 섞어 물을 후쿠시마 앞바다에 흘려 보내면서 비상상황 시 오염수 방류를 차단하는 장치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이번 시운전에서 특별한 이상이 보이지 않을 경우 올 여름 내 오염수를 방류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앞으로 30~40년간 후쿠시마 오염수를 방류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조사단도 이달 초 마지막 현지 시찰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고, 이달 중 종합보고서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본은 현재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로 정화한 뒤 원전부지 내 물탱크(K4탱크)에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알프스로 정화한 후에도 트리튬(삼중소소) 등 일부 방사성 물질은 남아있는 데다 바닷물로 희석해서 방류한다고 해도 장기간 방류 시 해양 생태계에 피해가 갈 것이라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달 정부 시찰단이 일본을 방문해 알프스를 비롯해 K4탱크, 오염수 이송·희석·방출설비, 제어실, 방사능 화학분석실 등을 살펴보고 방류 계획과 관련해 검증을 진행했지만 시료 채취 등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요식행위에 불과하다"는 비판적 평가를 받기도 했다.
시찰단은 안전성 평가와 관련해선 일본에 요청한 자료 등을 바탕으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평가 결과가 오염수 방류 전까지 나오지 않을 경우 정부 시찰단 활동에 대한 비판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개선 분위기를 보이고 있는 한일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우리 정부는 올해 초 강제동원 피해배상 해법안을 발표하는 것을 시작으로 일본과의 관계개선에 계속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도쿄와 서울에서 열린 한일정상회담을 통해 셔틀외교 복원,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정상화(GSOMIA·지소미아), 화이트리스트 복원, 초계기 갈등 해소 등 한일 간 해묵은 숙제들도 빠르게 해결 방안을 찾고 있다.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개선 모드에 들어간 한일관계가 이 문제로 인해서 악화될 가능성은 충분하다"면서도 "정부 기조를 봤을 땐 정부 간 갈등으로 이어질 것 같아 보이지는 않지만 일본에 대한 국민들의 반감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yellowapoll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