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이화의료원은 뇌 과학 연구 분야의 인공지능(AI) 활용 사례를 살펴보고 미래 비전을 전망하는 '2023 이화 국제 심포지엄'이 지난 12일 서울 서대문구 소재 ECC 이삼봉홀에서 개최됐다고 18일 밝혔다.
이화의료원 ER 바이오코어사업이 주최하고 이화여대 인공지능융합혁신인재양성센터와 BK21 FOUR 시스템헬스융합전공이 주관한 이 행사에는 이화여대 및 이화의료원 연구진과 대학원생 등이 참여했다.
이향운 이화여대 의과대학 교수, 이혜숙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GISTeR) 소장, 토드 컨스터블 미국 예일대 의과대학 교수가 연사로서 최신 뇌 과학 연구 동향을 발표했다.
이화메디테크연구소장이기도 한 이향운 교수는 실제 연구에서의 AI 기반 의료·바이오 연구의 개념과 응용 방법들, 이를 활용한 연구 사례를 소개했다.
이 교수는 "미국 뇌과학학회에서도 남성과 여성 뇌의 생물학적 차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연구 분야를 가장 시급한 연구주제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소장인 이혜숙 이화여대 명예교수는 뇌 과학 연구에서 젠더혁신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 빅데이터 연구가 성차과학 측면에서 편향성을 갖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끝으로 컨스터블 교수는 인간의 뇌와 다양한 행동이 어떻게 연관돼 있는지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 데이터의 사용을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뇌 과학에서의 빅데이터 사용과 관련해 질병과 뇌기능의 관련성을 이해하는 접근법, 인간의 행동특성과 뇌기능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접근법 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향운 교수는 "생물학적 성의 차이, 사회적인 젠더 차이를 이해할 수 있었다. 젠더혁신적 뇌질환 및 뇌 과학 연구를 하면 개인 맞춤 의료도 실현하고, 사회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ksj@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