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솝우화 '까마귀와 물병' 삽화(밀로 윈터 그림, 1919년). © 뉴스1 실험 A: 고기가 담긴 물이 든 시험관(좌), 고기가 담긴 모래가 든 시험관(우) / 실험 B: 고기가 담긴 물이 든 시험관에 물에 잠기는 고무(상)와 물에 뜨는 플라스틱(하) / 실험 C: 고기가 담긴 물이 든 시험관에 속이 찬 물체(상)와 속이 빈 물체(하) / 실험 D: 물 높이가 같고 고기가 담긴 물이 든 좁은 시험관(좌), 고기가 담긴 모래가 든 넓은 시험관(우) / 실험 E: 물 높이가 다르고 고기가 담긴 물이 든 좁은 시험관(좌), 고기가 담긴 모래가 든 넓은 시험관(우) / 실험 F: 고기 없이 물이 든 시험관(좌), 고기가 담긴 물이 든 (관이 좁은) 시험관(중), 고기 없이 물이 든 시험관(우). / 출처: www.plosone.org. © 뉴스1 관련 키워드까마귀이솝우화김정한 기자 "총 대신 SNS 게시물·밈이 전장이 되는 시대"…심리 방어 백서매카시즘 열풍 속 냉전 시대의 비극적인 그림자 [역사&오늘]관련 기사고민정 "김건희, 아내 역할 뭐 이렇게 광범위?…특검법 계속 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