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보저널’에 수록된 이번 연구 이미지. 미세아교세포가 포식 수용체를 통해, 신경세포체 표면에 표지된 포스파티딜세린를 인식하여 제거하는 모습. 이 현상이 과도하게 일어날 때 신경세포의 흥분-억제 간의 균형이 깨져서 발작 증세가 일어남.(그림제공:KAIST)ⓒ 뉴스1(왼쪽부터) 생명과학과 정원석 교수, 박정주 박사과정(사진제공: KAIST)ⓒ 뉴스1관련 키워드KAIST신경세포흥분성뇌질환관련 기사아산의학상에 이창준 IBS소장·김원영 울산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