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과학기술이 경제·안보를 위협하는 전략 무기화되고 있는 국제적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5년간 25조원을 투자해 전략기술 확보에 나선다.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11차 비상경제민생회의 주요 정책으로 국가전략기술 투자, 인공지능(AI) 연구·개발,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를 발표했다.
현재 세계 각국은 기술 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기술 확보에 나섰다. 미국은 '반도체와 과학법', 일본은 '경제안보법' 등을 제정해 반도체, 양자, AI분야의 핵심 기술 확보에 시동을 걸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공급망·통상, 신산업, 외교·안보 등 통합적 관점에서 기술주도권 확보가 필수적인 국가전략기술 분야 도출했다.
과기정통부는 "국가전략기술 분야 예산 연평균 10% 내외 증액을 통해 향후 5년간 총 25조원 이상 투자하겠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국가전략기술 분야, 지원방안 등은 28일 개최되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으로 발표 예정이다.
아울러, 이날 과기정통부는 '2027년 세계 3대 인공지능 강국 도약' 방안도 제시했다.
농산물 신품종 개발기간 단축, 고성능 배터리 소재 개발 등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AI 난제해결 메가 프로젝트'를 추진해 각 분야 기술개발과 함께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를 꾀한다.
또 현재 한국이 가진 메모리 반도체 경쟁력을 바탕으로 국산 AI반도체를 고성능·저전력화하고, 이를 통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고도화하는 'K-클라우드'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9월 발표된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의 후속으로 인공지능 분야 구체적 실행계획을 담은 '인공지능 초일류 국가 전략'을 12월 발표할 예정이다.
seungjun24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