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디즈니+가 지난 12일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 월 9900원에 디즈니·픽사·마블 등 디즈니가 보유한 풍부한 콘텐츠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는 디즈니+. IPTV와 모바일로 이용해봤다.

◇최대 4인 동시접속 가능한 디즈니+…IPTV·스마트TV로도
디즈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또는 웹을 통해 가입할 수 있다. 디즈니+를 TV를 통해 보려면 IPTV를 이용하거나 스마트TV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고, 또 크롬캐스트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기존에 이용 중인 LG유플러스 IPTV에 들어가보니 최상단 메뉴에 디즈니+가 추가돼 있었다. LG유플러스는 국내에서 디즈니+의 IPTV 서비스를 독점 계약했다.
계정에 접속한 뒤에는 프로필을 선택할 수 있다. 최대 4명의 동시접속이 가능한 디즈니+에는 각 프로필별로 4자리의 핀(PIN) 번호를 설정해 각 사용자별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기능이 있다.

◇콘텐츠 왕국 디즈니…1만6000여편 양질의 콘텐츠는 최고 경쟁력
디즈니+의 메인화면에는 △디즈니(Disney) △픽사(Pixar) △마블(Marvel) △스타워즈(Star Wars) △내셔널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 △스타(Star) 등 6개 핵심 브랜드가 상단에 위치해 있었다.
그 바로 아래에는 △완다비전 △만달로리안 △런닝맨 스핀오프 '뛰는놈 위에 노는놈' 등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가 배치됐다. 추천 콘텐츠에는 애니메이션 '소울'이나 스핀오프 실사 영화 '크루엘라', 코로나19 시국에도 국내에서만 100만명 이상의 관객을 모은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등 최신 콘텐츠들도 눈에 띄었다.
전반적인 콘텐츠를 둘러봤을 때, '콘텐츠 왕국' 디즈니의 '위엄'을 느낄 수 있었다.
어린 아이들이 좋아하는 익숙한 디즈니, 픽사의 애니메이션을 비롯해, 2030세대가 선호하는 '마블' 시리즈, 30대 이상에서 많은 팬을 갖고 있는 '스타워즈', 어른들이 좋아하는 내셔널지오그래픽의 웰메이드 다큐멘터리까지. '온가족을 위한 콘텐츠'를 지향하는 디즈니의 다양하고도 반가운 콘텐츠들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콘텐츠 '볼륨'에서도 아쉬운 부분이 있다.
애니메이션 '패밀리가이'나 시트콤 '말콤네 좀 말려줘', 다큐멘터리 '항공사고 수사대' 등 디즈니가 지식재산(IP)를 갖고 있어 디즈니+를 통해 정식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던 콘텐츠 중 상당수가 아직 디즈니+ 국내 서비스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상태다.

◇준비기간 1년 있었는데…자막·검색기능·UI 등 불편한 점 눈에 띄어
서비스 초기인만큼,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측면에서도 아쉬운 부분들이 눈에 띄었다.
먼저 콘텐츠 검색이다. 디즈니+는 현재 일부 키워드를 제외하고는 콘텐츠를 검색할 때 해당 키워드가 포함된 제목의 콘텐츠만을 결과물로 보여준다. 경쟁 서비스에서는 이와 관련되거나, 좋아할만한 유사한 콘텐츠도 함께 보여주는 것에 비해 부족하게 느껴졌다.
특히 디즈니가 1만6000편 이상의 콘텐츠를 보유한만큼,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들이 충분히 활용하게 하기 위해서는 태그 등을 이용해 콘텐츠 검색 기능도 강화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디즈니+에서는 '부부의세계', '멜로가체질', '스카이캐슬' 등 JTBC의 드라마 등 오리지널이 아닌 콘텐츠도 제공되고 있지만, 충분히 카테고리가 정리돼있지 않아 온라인에서는 "디즈니+에서 한국 드라마 뭐가 있냐"는 질문들이 올라오고 있는 상황이다.

IPTV 한정이지만, 빨리감기나 되감기 기능도 다소 부족하게 느껴졌다. 현재는 재생 중 원하는 위치로 건너 뛸 수 없고 2, 3, 4단계로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방법과 10초 앞·뒤로 이동하는 방법뿐이다.
이미 지적된 자막, 콘텐츠 설명 부실 등의 문제도 시급히 개선돼야할 문제로 보였다.

◇디즈니+, 국내 오리지널 콘텐츠 서비스·UI 개선 필요해
디즈니+의 국내 서비스의 첫 인상은 '정리되지 않은 보물 창고'라는 느낌이었다. 막강한 콘텐츠 IP들을 보유하고 있지만 일부 대표 콘텐츠를 제외하고는 접근하기가 어려운 상태였다.
월트디즈니컴퍼니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한국 진출'을 처음 언급한 것은 지난해 12월이다. 준비 작업은 그 이전부터 진행됐을텐데, 1년 이상의 시간을 들여 내놓은 서비스의 수준은 다소 아쉽게 느껴졌다.

다만, 지난 2016년 국내에 진출한 경쟁 서비스 넷플릭스 역시 초창기에는 자막 등이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다가 서비스가 점차 개선된만큼, 디즈니+ 역시 UI 등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콘텐츠 역시 심의 등의 문제로 국내 서비스는 '시간 문제'일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시장상황이 당시와 다르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 OTT 시장은 글로벌 OTT 회사인 넷플릭스뿐 아니라 웨이브, 티빙 등 국산 OTT 다양한 서비스들도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나 글로벌 제휴 콘텐츠를 선보이며 경쟁을 펼치고 있다. 소비자들이 지금 같은 부족한 상태를 과연 오래 기다려줄지는 미지수다.
디즈니+ 역시 론칭 쇼케이스 때 제작할 거라고 발표한 다양한 국내 오리지널 콘텐츠 등 지속적인 콘텐츠 경쟁력을 확보하고, 빠른 시일 내 UI나 자막 등의 불편함을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Kri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