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한재준 기자 = 포스코퓨처엠이 제철소 용광로에서 발생하는 폐내화물(耐火物)을 100% 재활용, 탄소 배출 저감에 나서고 있다.
포스코퓨처엠(003670)은 지난 2020년 40%였던 폐내화물 재활용률을 2021년 72%로 끌어올린 뒤 지난해 100% 재활용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포스코퓨처엠이 지난해 재활용한 폐내화물은 1만7000톤으로 연간 탄소배출량 3만톤을 저감했다. 나무 375만그루를 심는 것과 맞먹는 효과다. 폐내화물을 처리하기 위한 비용도 14억원을 절감했다.
포스코퓨처엠은 배터리 소재 외에도 내화물을 생산하고 있다. 내화물은 해수에서 추출한 마그네시아를 활용해 벽돌 모양 등으로 만든 것으로 용광로 내부에 설치해 설비를 보호하는 데 쓰인다. 석유화학 공장이나 발전소 등에도 쓰이는 산업 기초소재다.

포스코퓨처엠은 ESG 경영 차원에서 내화물 생산에서 더 나아가 제철소 개보수 공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내화물을 시멘트 부원료나 주물사·복토재로 재활용하고 있다.
주물사는 금속 제품 생산 과정에 쓰이는 모래, 복토재는 쓰레기 매립장의 먼지와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덮는 모래다.
포스코퓨처엠은 2021년부터 국내 시멘트 업체와도 자원순환 ESG 파트너십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폐내화물을 재활용한 시멘트 부원료를 공급하고 있다.
hanantway@news1.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