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류준열(왼쪽)과 김서형 © 뉴스1 DB |
21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국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제43회 영평상이 열렸다. 지난 4일 사전에 시상자(작)이 발표됐고, 이날 현장에서 수상이 이뤄졌다.
이날 최우수작품상의 영예는 '다음 소희'에게 돌아갔다. '다음 소희'를 공동 제작한 김지연 프로듀서가 단상에 올라 "제가 가장 존경하고 고맙고 늘 현장에서 함께 하고 싶은 배두나에게 이 영광을 돌린다"고 전했다.
'비닐하우스'에서 열연을 펼친 김서형은 이날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그는 "제가 30년이 됐더라, 늘 배우들은 좋은 시나리오에 목말라 있다. 그날 그 선상에서 저는 좋은 시나리오를 만났던 것 같다"라며 "'비닐하우스'는 지독하게 주변의 얘기가 아니라 한편으로 제 얘기였던 걸로 기억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올해 한국 영화에서 주로 공간에 대한 얘기가 많이 나왔는데, 우리나라의 획일화된 주거 공간 안에서 누가 약자일 것이고, 누가 강자일 것이냐는 것은 우리가 평가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했다"며 "그 비닐하우스 안에서 어떤 공간이든 그 사람들의 꿈을 논할 수 있는 게 아니라고 생각한다, 누구 눈에는 저렇게 살 수 있을까 생각하지만 그 안에는 꿈과 행복이 충분히 (있고), 저 자신도 그랬다. 그런 시간 안에 이런 지붕이 되어준, 연기를 할 수 있게 기회를 주신 30년 시간에 깊이 감사를 드린다"고 솔직하게 말했다.
그러면서 "제가 드라마로는 인사를 드렸는데, 영화에 참 많이 문을 두드렸다"며 눈물을 흘린 김서형은 "그 스타트가 오늘인데 너무나 감사드리고, 성장할 수 있게 단비를 적셔 주셔서 감사하다"고 울컥한 심경을 드러냈다. 또한 "비닐하우스가 나를 빗댄 거라 저는 희망을 바랐다, 칭찬을 모자란 사회가 되어가는 것 같아서 이 작품이 의미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류준열은 '올빼미'로 남우주연상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그는 "영화를 사랑한다는이유만으로 영화인이라고 해도 되나 하는 죄책감이 있었다, 그런데 이렇게 영화를 좋아하고 평론해주시는 분들이 주신 상의 무게를 알고 있다"라며 "앞으로는 영화인이라고 소개하는 데 있어서 앞서 말한 그런 감정들을 좀 덜어낼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점에서 감사하단 말씀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 |
'다음 소희' 포스터 |
김종수는 '밀수'로 남우조연상을 받고, "40대 초반, 늦은 나이에 영화를 처음 시작했는데 상을 처음 받아본다"고 말해 박수를 받았다. 여우조연상을 받은 이윤지는 "좋아하는 가을에 영광스러운 상으로 맞이할 수 있어서 감사하다"고 전했다.
감독상은 '드림팰리스'의 가성문 감독이 수상하게 됐다. 각본상은 '흐르다'의 김현정 감독이 차지했다. 안태진 감독은 '올빼미'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 류승완 감독의 '밀수'는 기술상(미술)을 수상하게 됐다. 촬영상은 '올빼미' 음악상은 '밀수'가 차지했다.
다음은 제43회 영평상 부문별 수상자(작).
△ 최우수작품상='다음 소희'
△공로영화인상=이우석 회장
△공로평론가상=정중헌 회원
△감독상=가성문('드림팰리스')
△여우주연상=김서형('비닐하우스')
△남우주연상=류준열('올빼미')
△여우조연상=이윤지('드림팰리스')
△남우조연상=김종수('밀수')
△신인감독상=안태진('올빼미')
△신인여우상=김시은('다음 소희')
△신인남우상=진영('크리스마스 캐럴')
△기술상=이후경 (미술)('밀수')
△각본상=김현정('흐르다')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상=국내영화 부문 '비밀의 언덕' 이지은, 국외영화 부문 '라이스보이 슬립스' 앤소니 심
△촬영상=김태경('올빼미')
△음악상=장기하('밀수')
△독립영화지원상=극영화 부문-'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의 김세인 감독/ 다큐멘터리 부문-'수프와 이데올로기'의 양영희 감독
△신인평론상=최우수 김윤진, 우수 송상호
△'영평 10선'
'같은 속옷을 입은 두 여자'
'다음 소희'
'드림팰리스'
'물안에서'
'밀수'
'비닐하우스'
'비밀의 언덕'
'올빼미'
'킬링로맨스'
'희망의 요소'
seung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