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DWRX2008 점안 투여 시 안구 내 약효 전달 과정.(대웅테라퓨틱스 제공) |
대웅테라퓨틱스가 국산 36호 신약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의 주성분 이나보글리플로진으로 세계 최초 안약 형태의 당뇨망막병증 치료제 개발에 도전한다.
대웅테라퓨틱스는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당뇨망막병증 치료제 후보물질 ‘DWRX2008’의 임상 1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15일 밝혔다. 대웅제약의 엔블로를 통해 국내 당뇨병 치료 시장을 혁신한 대웅그룹이 투여 경로 다양화를 통해 당뇨병 치료제 영역의 추가 확장에 나섰다는 평가다.
DWRX2008은 대웅테라퓨틱스가 경구용 SGLT-2 억제제 엔블로의 투여경로 변경을 통해 나노 점안제 형태로 개발 중인 당뇨망막병증 치료제다. 기존 SGLT-2 억제제와 비교해 30분의 1 이하의 용량으로 동등한 약효를 증명한 엔블로의 강점에 기반을 두고 망막과 안구 후방조직에서 발생하는 당뇨병성 안과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될 전망이다. DWRX2008은 지난해 4월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비임상 지원 과제로 선정돼 개발되고 있다.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으로 인해 망막의 미세혈관계에 순환 장애가 발생함으로써 시력 저하와 실명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당뇨 합병증이다.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성 황반 부종 등 당뇨병성 안과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은 망막과 안구 후방조직에서의 고혈당, 산화적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 질환의 최종 병리기전인 신생 혈관(실핏줄) 생성을 막기 위해 안구 내로 약물을 직접 주입하는 항체치료 주사제만이 개발된 상황이다.
대웅테라퓨틱스가 계열내최초(First-in-class) 신약으로 개발 중인 DWRX2008은 망막과 안구 후방조직에서 발생하는 당뇨병성 안과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인 ‘안구 혈당’ 관리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DWRX2008은 점안 투여를 통해 이나보글리플로진을 안구 후방으로 전달한다. 안구 후방에서 발현되는 나트륨 포도당 공동수송체(SGLT)-2를 억제해 안구 후방 조직의 혈당을 낮춘다. 비정상적인 에너지 대사를 정상화해 활성산소 생성을 감소시킨다. 이 같은 방식으로 혈관 신생을 유도하는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분비를 억제 할 것으로 기대된다.
비임상 단계에서 사람과 가장 유사한 영장류에서 자연 발생한 당뇨망막병증, 당뇨황반부종 모델에 2개월간 점안 투여한 결과, 대조약물인 ‘애플리버셉트’와 유사한 수준의 황반부종 감소를 확인했다. 안구 후방으로 충분하게 약물이 전달됐다.
항체치료제는 전 세계적으로 약 10조원 이상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안구 내로 약물을 직접 주입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대웅테라퓨틱스가 개발 중인 DWRX2008은 투약 편의성을 개선한 점안 투여만으로도 기존 치료제들과 유사한 약효를 나타낼 수 있다. 치료율 증가, 투여횟수 감소 등을 위해 기존 치료제들과의 병용 투여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대웅테라퓨틱스는 임상 1상에서 DWRX2008의 안전성, 국소 내약성, 약동학 특성을 확인할 방침이다. 이어 유효성 탐색을 목적으로 하는 임상 2상 진입의 가능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4분기 시작 예정인 이번 임상은 단회 투여와 반복 투여로 진행된다. 추후 해외 진출과 다국가 임상 2상 등을 고려해 임상 대상을 건강한 한국인과 코카시안으로 설정했다.
강복기 대웅테라퓨틱스 대표는 “DWRX2008은 난치성 안구질환에 고통받는 환자에게 치료 효과나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현재의 안구 내 직접 주사하는 항체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면서 “기존의 항체치료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침습적인 투여 방법으로 인해 고통 받는 환자에게 병용투여 옵션 또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복기 대표는 이어 “대웅테라퓨틱스는 DWRX2008 점안제 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약물전달플랫폼을 활용한 확률 높은 신약 개발을 통해 다양한 의료적 미충족 수요(Medical Unmet Needs)를 해결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ji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