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비대면 진료 이용자 13배 늘어…영유아·어린이는 34배 증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한시적 비대면진료 이용자 수 현황' 자료
이종성 의원 "제도화 이뤄져 의료취약계층 의료공백 해소해야"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2023-03-10 11:42 송고 | 2023-03-10 14:33 최종수정
24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명지병원 재택치료지원센터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환자를 대상 원격 치료 상담을 하고 있다. 2021.11.24/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24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명지병원 재택치료지원센터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환자를 대상 원격 치료 상담을 하고 있다. 2021.11.24/뉴스1 © News1 조태형 기자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한시적으로 허용됐던 비대면 진료가 우리 사회에 빠르게 안착한 모양새다. 비대면 진료 이용자 수가 2년 새 약 13배 증가했고, 특히 영유아와 어린이(0~14세)의 이용자 수는 2년 새 약 34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한시적 비대면 진료 이용자 수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0~14세 비대면 진료 이용자 수는 196만명으로 제도 시행 첫 해인 2020년 5만7000명과 비교해 2년새 약 34배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의원은 "2022년 기준 해당 연령대 인구(약 593만명) 3명 중 1명이 이용하고 있는 셈"이라며 "소아청소년과 의사 부족으로 인한 의료공백 사태가 일정 부분 해소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적으로 비대면 진료 이용자 수는 지난해 1015만명으로 제도 시행 첫해인 2020년 79만여명에 비해 2년 새 약 12.8배 늘어났다.

특히 비대면 진료는 병원에 자주 방문하기 힘든 도서 지역 등에서도 활발히 이용됐다. 보건복지부는 의료접근성이 떨어지는 군 단위 98개 지방자치단체를 '의료취약지역'으로 지정해 관리하는데 해당 지역의 비대면 진료 이용자 수는 지난해 94만7000명으로 2020년 5만4000명 비해 약 16배 늘었다.

이 의원은 "감염병 등급 하향조정으로 인해 비대면 진료가 자동종료 될 경우, 영유아·의료취약계층의 의료공백이 악화될 것"이라며 "비대면 진료의 제도화가 이뤄져 영유아·어린이, 의료취약계층 등의 의료공백을 해소할 수 있도록 관련 입법에 대한 논의를 신속하게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ksj@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