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퀀텀닷 필름 대비 7배 이상 높은 발광 효율3차원 퀀텀닷 패터닝 기술. (KAIST 제공)/뉴스1왼쪽부터 KAIST 정연식 교수, 신홍주 박사, 김건영 박사. (KAIST 제공)/뉴스1관련 키워드한국과학기술원KAIST동국대퀀텀닷관련 기사AI휴머노이드 데이터 경량화 등 융합 연구 본격 착수얇은 껍질 형태의 인화갈륨 퀀텀셸 발광소재 개발선명상위원회 위원장에 금강스님…위원 21명도 위촉정시 합격 열쇠는 '모집인원·경쟁률·성적' [오종운의 입시 컨설팅]"계엄 명분도 과정도 위법했다" 계엄 후폭풍 휘몰아치는 대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