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윤지원 기자 = 웨이브가 자동 자막 제작 기술을 개발해 글로벌 진출의 발판을 마련한다.
웨이브는 컨소시엄을 통해 '구어체 방송 콘텐츠를 위한 자동 자막 제작·편집 기술 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방송기술개발사업에 선정돼 오는 2024년까지 기술을 개발한다.
이번 컨소시엄에는 웨이브를 비롯해 주관사인 인공지능 전문기업 트위그팜, SBS, 글로벌 기계 번역 전문 기업 시스트란, 미디어 현지화 전문 기업 푸르모디티 등 5개 전문 기업이 참여한다.
웨이브가 이같은 기술 개발에 나선 이유는 국내 콘텐츠 기업은 분당 11달러(약 1만3500원)에 달하는 높은 콘텐츠 현지화 비용 때문이다. 이를 단축하기 위해 기계 번역을 이용할 경우 여러 명이 대화에 참여하는 경우나 구어적 맥락의 반영이 어려워 자막 품질이 저하된다.
이에 컨소시엄은 국내 미디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 지원을 목표로 콘텐츠의 실시간 현지화가 가능한 VOD 시범 서비스를 구축한다. 특히 현지화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콘텐츠 전용 한국어 음성인식기 △장르별 문맥 기반 기계 번역기 △클라우드 자막 편집 도구 등을 개발한다.
웨이브 컨소시엄은 오는 2023년까지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2024년까지 플랫폼 확장에 집중, 지속적으로 서비스 고도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김태형 콘텐츠웨이브 미디어 데이터개발 그룹장은 "우리 콘텐츠를 세계 시장에 빠르게 선보일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 효율적 글로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g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