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물가 둔화, 유가 하락에 2%대 물가 안착 '청신호'…채소·과일은 변수

지난달 근원물가 상승률 2.0%…2년8개월만에 최저
유가도 70달러대 안정 흐름…'고공행진' 신선식품 물가 잡힐까

4일 오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사과를 고르고 있다. 2024.6.4/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4일 오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사과를 고르고 있다. 2024.6.4/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세종=뉴스1) 전민 기자 = 최근 기조적 물가상승률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의 상승세가 둔화되고, 유가도 안정되는 흐름을 보이면서 물가가 2%대에 안착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다만 과일·채소 등 농작물 가격은 여전히 변동성이 큰 상황이라 향후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을 보면 지난달 근원물가지수는 112.40으로 지난해 5월 대비 2.0% 올랐다. 이는 지난 2021년 9월(2.0%) 이후 2년 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7%) 대비 0.7%포인트(p) 낮았다.

근원물가 지수는 농산물과 석유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지수인 식료품·에너지 제외 물가지수는 110.91로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했다. 이 역시 지난 2021년 12월(2.2%) 이후 1년 5개월 만에 최저치였다.

지난해 3%대를 웃돌던 근원물가 상승률은 올해 들어 2%대로 내려오고 지속적으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더해 중동발 분쟁 우려로 배럴당 80달러(서부텍사스원유(WTI) 기준)를 넘나들었던 국제 유가 역시 70달러대로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달 들어 WTI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회원 산유국 모임인 OPEC+의 감산 철회 전망에 배럴당 73달러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다만 이후 유럽중앙은행(ECB)이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나서면서 원유 수요 회복 기대감에 반등하기도 했다.

금융시장에서는 중동발 긴장 우려가 다시 높아지는 상황이 오지 않는다면 올해 국제유가가 크게 오를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영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글로벌 제조업 경기 회복 추세와 주요국 금리 인하에 따른 수요 견인 전망은 유효하다"면서 "다만 수요 증가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며 올해 하반기 국제유가 전망치를 75~95달러에서 70~90달러로 낮춰잡았다.

국제유가가 안정된다면 2%대 물가 안착 가능성 역시 커진다. 정부는 앞서 상반기 내 2%대 물가 안착을 목표로 내세운 바 있다.

다만 체감도가 높은 과일·채소를 비롯한 신선식품 물가가 여전히 고공행진하고 있다는 점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지난달 과일과 채소, 수산물 등 신선식품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7.3% 상승했다. 신선식품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부터 8개월 연속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여름철에는 기상 여건이 좋아지니 농산물 가격이 하락 안정된다고 할 수 있으며, 국제유가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지금 여건상으로는 농산물과 석유 가격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일 듯하다"고 했다.

min785@news1.kr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 이영섭

|

편집국장 : 채원배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