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청년이 꼽은 올해 이슈 '경제생활·주거 불안'…75%는 "삶 좋아지지 않는다"

청년재단, 청년정책 설문조사 및 정성조사 결과 발표.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 | 2024-02-28 08:15 송고 | 2024-02-28 09:29 최종수정
(청년재단 제공)
(청년재단 제공)

청년이 올해 가장 중요한 청년 이슈로 '경제생활 및 환경 여건 악화'를 꼽았다. 삶이 개선될 것으로 보는 청년은 10명 중 2명이 되지 않았다.

청년재단은 대학생, 사회진입준비생, 직장인, 신혼부부 등을 대상으로 한 청년정책 및 청년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청년정책·이슈 톺아보기' 설문조사 결과를 28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재단이 리서치 전문업체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6일부터 14일간 전국 19~39세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정성조사의 경우 대학생, 사회진입준비생, 직장인, 신혼부부 등 15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응답자들이 평가한 지난해 청년으로서의 삶(10점 만점)은 4~5점(33.4%)이 가장 많았고, 올해의 삶은 '현재와 비슷할 것'(60.3%)이라고 내다봤다. 응답자의 14.3%만 '현재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25.3%는 올해 삶이 더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청년 유형별로 주요 이슈 달라…공통분모는 '경제생활·주거불안'

청년이 꼽은 올해 가장 중요한 이슈는 '청년 경제생활 및 환경 여건 악화'(41.2%)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청년 주거 불안(23.1%) △사회진출 지연 청년의 재도전(21.9%) △세대 간 인식 격차 해소(7.8%)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부터 불거진 전세사기 대란, 역전세 등으로 인한 주거불안뿐만 아니라 경제생활 여건도 불안감이 많았다.

일례로 정성조사에서 직장인 A 씨는 "주변 친구 대부분이 전세로 살고 있는데 집이 불안정해지면서 이사를 못 나가는 상황에 있는 친구가 몇 명 있어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고, 신혼부부 B 씨는 "전세 사기가 가장 큰 이슈라고 본다. 사실 저도 전세를 살다가 매매로 올해 1월에 넘어왔는데 아직 전세금을 다 못 받았다"며 "그 점이 가장 와닿기도 하고 가장 큰 청년 문제이지 않았을까 싶다"고 말했다.
청년의 연령 및 청년유형별로 응답비율은 상이했다. 30세 미만과 대학생·사회진입준비생의 경우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반면 30~34세와 직장인은 '청년 주거 불안'을, 35~39세와 신혼부부는 '청년 부채 증가'를 가장 중요한 청년이슈로 선정했다.

사회진입준비생 C 씨는 “(취업 준비를 할 때) 잘하지도 못하지도 않는 애매한 수준에서 희망을 버리기가 가장 힘들다”며 “계속 도전해보면서도 떨어지고 나면 자존감이 하락하고 니트(NEET) 쪽으로 빠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고 밝혔다.

신혼부부 B 씨는 “부부가 자리를 잡으려면 어느 정도 주거가 안정돼야 하는데, 전세는 불안하고 월세는 부담돼서 남은 선택지가 매매밖에 없다”며 “그런데 집값의 변동 폭이 큰 데다 대출을 받자니 제한이 많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로 전세를 택한다. 그랬다가 다시 전세 사기를 당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청년정책을 담당하는 정부나 정치권에 큰 거리감을 느끼기도 한다. 단편적인 정책 지원으로 오히려 정책 입안 과정에서 청년의 목소리가 충분히 대변되고 있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진입준비생 D 씨는 "청년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라든가 관심도도 낮을뿐더러 정책 관련해서도 너무 포퓰리즘적인 느낌이 강하다"고, A 씨는 "정치인도 정부도 사실상 청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투표 때 정도고 실질적으로 얼마나 많이 청년들의 삶이나 그런 것에 관심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청년재단 제공)
(청년재단 제공)

◇청년 61.6% '정부와 거리감 느껴'…기성세대도 57.6%

청년이 가장 주관적 거리감을 느끼고 있는 비청년집단(복수응답)은 정부(61.6%)로 나타났으며 이어 기성세대(57.6%), 기업(44.2%) 순으로 파악됐다.

직장인 E 씨는 "청년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지원을 신경 써준다고 얘기하지만, 오히려 안 좋게 보는 시선도 많다"며 "지원책을 내고는 있지만 실용적으로 받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는 않은 것 같다"고, B 씨는 "지금 2030세대가 앞으로 대한민국에 주축이 될 나이대인데 인구수는 점점 절벽으로 가고 있고, 앞으로 감당해야 할 것이 많은 상황이다 보니 (사회에서) 기대감을 굉장히 많이 가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기성세대에 대해서는 정부와 유사하게 포용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다. 기성세대가 주요 요직에 있는 정부라 거리감이 발생한다는 시각 또한 있다.

A 씨는 "기성세대에서는 청년세대를 단편적으로 판단해서 이야기하는 것 같다“며 ”'요즘 20대들은 취업하면 1년만 하고 다 그만두겠다고 하고, 힘든 일 안 하려고 한다‘거나, MZ세대 관련해서 부정적으로만 얘기하는 것 등 과거 세대와 다른 양상이라는 이해 없이 판단하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서 거리감을 느낀다"고 전했다.

◇'73.1%' 청년정책 관심 있지만…정부 지원은 소극적 인식

응답자의 73.1%는 청년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청년의 주요 관심 정책분야(복수응답)는 일자리(69.5%)로 파악됐고, 주거(66.7%),복지(52.7%), 금융(47.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분야에 대한 관심도는 대학생·사회진입준비생에서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대학생 F 씨는 "진로 결정에 대한 불확실성은 없는데, 그 직업을 가질 수 있을지 없을지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고, G 씨는 "취업 준비를 할 때 보니 해당 분야랑 잘 안 맞는다거나, 졸업 유예를 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정부가 청년에 관심을 쏟아야 할 집단으로 인식하면서도, 세세한 도움보다는 피상적인 정책을 통해 지원하고 있어, 소극적이라는 인식도 존재했다.

직장인 H 씨는 "청년들이 확실히 사회 초년생이라는 이미지가 있어서 미완성된 단계라고 본다"면서도 "미세하고 꼼꼼하게는 지원이 덜 되고 포괄적으로 큰 그림으로만 계속 지원해 주는 느낌이다. 청년들이 정말 원하는 것에 뭔가 크게 와닿는 정책이라고는 생각이 안 된다"고 말했다. 대학생 I 씨는 "정책이나 언론에서 얘기하는 것에는 청년은 지원받아야 되는 존재고 피부양자 쪽에 더 가까운 것 같지만, 실제로는 부양자인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사회가 청년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48.6%)와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고 있다'(51.4%)는 응답이 팽팽했다. 정성조사에선 정부의 지원 노력이 체감되고 있다면서도, 중요성이나 지원 방향에 대해서는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반응이 많았다. 특히 현 청년이 사회적 부품으로 인식되거나, 미래 부양자로 인식되는 것에 대한 거부감도 있었다.

A 씨는 "정부 정책에서는 청년기를 지나가는 몇 년의 과정으로 인식해서 종합적인 정책을 펴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며 "사회문화적인 환경이 자연스럽게 변하고 있는데 그런 것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청년 33.2% "자립준비청년 지원해야" 가장 많아

정부가 집중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년 유형은 자립준비청년(33.2%)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돌봄청년(23.5%) △금융취약청년(11.5%) △고립청년(11.0%) △구직단념(NEET·니트)청년(8.5%) △장애청년(7.0%) △경계선지능청년(4.0%) △이주배경청년(0.6%)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청년정책의 방향성(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청년의 자립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49.6%)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다만 사회진입준비생의 경우 '청년 모두의 사회적 진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45.0%)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가장 컸다.

응답자의 43.7%는 청년정책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청년의 중위 연령대(24~29세)와 사회진입준비생 그룹에서 이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도움이 됐던 청년정책 또는 프로그램에는 '청년 구직활동 지원'(34.9%)이 가장 많았고, '청년형 장기적금'(12.7%), '대중 교통비 지원'(11.7%) 등이 뒤를 이었다.

청년재단은 "청년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사회진출 지연, 주거불안, 부채증가 등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청년 유형별로 세분화된 정책 설계를 통해 제도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dyeop@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