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뇌신경 이미징 기술로 치매 조기진단 가능성 확인

IBS·KIST·세브란스병원 , 뇌 속 반응성 별세포·신경세포 영상화

(대전ㆍ충남=뉴스1) 김태진 기자 | 2023-04-17 11:51 송고 | 2023-04-17 18:30 최종수정
반응성 별세포 동물 모델에서 PET 영상 촬영을 통해 관찰되는 11C-아세트산 흡수 증가와 18F-FDG 흡수 감소.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반응성 별세포 동물 모델에서 PET 영상 촬영을 통해 관찰되는 11C-아세트산 흡수 증가와 18F-FDG 흡수 감소.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의 조기진단을 위한 뇌 속 반응성 별세포를 영상화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윤미진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류훈 책임연구원 연구팀과 함께 알츠하이머 치매의 뇌에서 나타나는 반응성 별세포와 이로 인한 신경세포 대사 저하를 영상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노인성 치매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인 알츠하이머 치매는 뇌 염증반응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뇌 염증반응이 일어날 때 가장 먼저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는 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의 크기와 기능이 변하는 '반응성 별세포화'다.

이러한 반응성 별세포의 임상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임상수준에서 유의미하게 이 세포를 영상화해 관찰·진단할 수 있는 뇌신경 이미징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탄소11-아세트산과 불소18-플루오로데옥시글루코오스를 함께 활용한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영상으로 알츠하이머 환자에서의 반응성 별세포와 이에 의한 신경세포의 포도당 대사 저하를 영상화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알츠하이머 환자 뇌조직의 MCT1 및 GLUT3 변화.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뉴스1
알츠하이머 환자 뇌조직의 MCT1 및 GLUT3 변화.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뉴스1

PET는 특정물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방사성의약품이 방출하는 양전자를 측정해 인체의 생리·화학적, 기능적 3차원 영상을 보여주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반응성 별세포 유도 동물모델을 PET 영상촬영을 통해 확인한 결과, 반응성 별세포화가 반응성 별세포의 아세트산 대사를 활성화하고 주변 신경세포의 포도당 대사 억제를 유도하는 것을 규명했다.

또 PET 영상과 함께 면역조직화학 및 전기생리학적 방법을 포함한 다각적인 분석으로 아세트산이 반응성 별세포화를 촉진 시켜 푸트레신 및 가바의 생성으로 유도, 치매를 유발함을 밝혔다.

흔히 ‘식초’로 잘 알려진 아세트산은 별세포의 에너지원으로 기능하는데 별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모노카복실산 수송체1에 의해 반응성 별세포에서 아세트산을 과도하게 흡수해 반응성 별세포화를 더욱 촉진시켰다.

반면 반응성 별세포화를 억제하거나 MCT1의 발현을 억제했을 때 별세포의 아세트산 대사와 주변 신경세포의 포도당 대사가 정상적으로 회복됐다.

이러한 대사변화는 다양한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과 실제 알츠하이머 환자에게도 동일하게 발견됐으며, 대사변화가 심할수록 알츠하이머 환자의 인지기능도 크게 저하됐다.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조기 진단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특히 아세트산과 MCT1 수송체에 의한 반응성 별세포화 촉진 기전을 밝힘으로써 새로운 치매 치료제의 표적을 제시했다.

알츠하이머에서 아세트산의 이상 과다흡수를 통해 촉진되는 반응성 별세포화와 이에 의한 신경세포 대사 및 기능 저하 기전.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뉴스1
알츠하이머에서 아세트산의 이상 과다흡수를 통해 촉진되는 반응성 별세포화와 이에 의한 신경세포 대사 및 기능 저하 기전.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뉴스1

남민호 KIST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최근 치매의 핵심 원인으로 조명되고 있는 반응성 별세포를 환자 뇌에서 직접 가시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어 학술적 임상적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류훈 KIST 책임연구원은 “아세트산이 별세포의 에너지원으로써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반응성 별세포화를 촉진할 수 있음을 밝혀 뇌질환에서 반응성 별세포화가 유도되는 새로운 기전을 제시했다”고 했다.

윤미진 세브란스병원 교수는 “반응성 별세포는 정상 상태와 달리 아세트산을 과다하게 흡수하는 대사 이상을 보였다”며 이렇게 흡수된 아세트산은 세포 내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창준 IBS 단장은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을 통해 아세트산의 이동통로가 되는 MCT1을 억제했을 때 상당히 유의미한 회복이 나타남을 확인했다”며 “MCT1이 새로운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타깃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뇌과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브레인(Brain)’ 온라인에 지난 17일 게재됐다.


memory4444444@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