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창립 50주년 맞은 북한 연구 산실 극동문제연구소…"다시 미래를 준비"

7·4 남북공동성명 발표된 1972년 설립…오늘 기념식 개최

(서울=뉴스1) 서재준 기자 | 2022-08-18 13:53 송고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가 오는 9월1일 창립 50주년을 맞아 18일 국제학술회의와 기념행사를 개최했다.(극동문제연구소 제공)2022.08.18/뉴스1 © News1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가 오는 9월1일 창립 50주년을 맞아 18일 국제학술회의와 기념행사를 개최했다.(극동문제연구소 제공)2022.08.18/뉴스1 © News1 

북한 문제 연구의 '산실'인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가 오는 9월1일 창립 50주년을 맞는다.

연구소는 분단 이후 남북의 첫 공동성명인 '7·4 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된 1972년 문을 열었다.
당시 '통한문제연구소'라는 이름으로 출발한 연구소는 이듬해 박재규 전 통일부 장관(현 경남대 총장)이 2대 소장으로 취임하며 이름을 지금의 극동문제연구소로 바꿨다.

초기에는 북한 관련 자료 수집에 주력했다. 북한 문제를 연구할 객관적인 한문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반공 분위기가 강했던 당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북한의 대표적 관영매체이자 북한 연구의 기본적 자료인 노동신문을 구하는 것조차 어려웠다고 한다.

그러나 연구소는 같은 해 미국 워싱턴에서 '한국과 주변 강대국'이라는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며 주목을 받았다. 창립 1년도 되지 않은 신생 연구소의 입지가 크게 높아지는 순간이었다.
1974년에는 서울에서 다시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해 다시 한번 입지를 높였다. 당시 학술회의의 주제는 '동북아시아 평화와 안보'였다.

1996년부터 70차례 개최된 '통일전략포럼'은 엄격한 통일·대북정책에 대한 평가와 제언을 통해 관련 분야의 담론을 주도하는 역할을 했다. '통일경제아카데미'를 거쳐간 남북경협·북한경제 전문가는 2500명이 넘는다.

이같은 학술적 성과와 기록은 연구소가 자타가 공인하는 북한 문제 연구의 산실로 불릴 수 있는 이유다.

남북관계가 진전과 정체를 반복하는 동안에도 연구소의 역할은 멈추지 않았다.

지난 2020년부터는 '해외 북한·통일학 학술교류 지원사업'을 통해 해외의 학자들을 지원하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한·미·일·중·러 등 10여 개 나라의 전·현직 관료와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한반도국제포럼(KGF)도 개최한다.

박재규 경남대학교 총장은 "지나온 역사를 회상하면 많은 어려움도 있었지만 보람도 크다"라고 지난 50년을 회고했다. 그러면서 "한반도에서 보다 항구적인 평화 정착을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각오와 희망으로 다시 한번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소는 18일 창립 50주년을 기념하는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했다. 고유환 통일연구원장,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안호영 전 주미대사, 신정승 전 주중대사, 이수훈 전 주일대사, 박노벽 전 주러대사 등 전현직 관료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조셉 디트라니 전 국무부 대북담당 특사, 칼 프리만 미국 평화연구소 중국수석전문가, 정지용 중국 푸단대 한국학연구소장, 오코노기 마사오 게이오대 명예교수, 알렉산더 보론초프 러시아 동방학연구소 교수 등 4강국 전문가들도 참석해 한반도 정세에 대해 논의했다.

학술회의 후에는 강인덕, 홍용표 전 통일부 장관, 김덕룡 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 강창희 전 국회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행사도 열렸다.

이관세 극동문제연구소장은 "한반도에서 통일과 평화는 모두의 무수한 노력과 공이 요구되는 과정 그 자체이자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라며 "어제의 성취보다 내일의 가능성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 연구소는 앞으로도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seojiba3@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