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UNIST 연구팀, 소리 듣는 인공피부 기술 개발

(울산=뉴스1) 조민주 기자 | 2022-03-27 12:00 송고
고현협 교수(왼쪽아래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김재준 교수, 채희영 연구원, 강동희 연구원.(UNIST 제공) © 뉴스1
고현협 교수(왼쪽아래부터 반시계방향으로), 김재준 교수, 채희영 연구원, 강동희 연구원.(UNIST 제공) © 뉴스1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고현협 에너지화학공학과·김재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사람의 동작, 촉감, 소리 등을 모두 인식해 기계에 전달할 수 있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인터페이스는 귀의 달팽이관 구조를 모방한 인공피부 센서를 기반으로 한다.

달팽이관 기저막은 두께와 너비, 단단함 정도가 부위별로 달라 소리를 주파수별로 구분해 받아들 수 있는 원리를 응용했다.

센서의 이러한 특성 덕분에 사람의 동작처럼 느리게 반복되는 저주파 신호 뿐만 아니라 빠르게 진동하는 소리, 촉감 같은 고주파 신호도 낮은 신호 대 잡음비로 기계에 모두 전달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이 센서를 활용해 아바타 로봇 손 제어 기술, 스마트 햅틱 장갑 같은 응용 기술을 개발했다.

소리로 아바타 로봇 손을 조종하는 시연에서는 주파수를 바꿔 로봇 손의 손동작을 조종할 수 있었다.

또 사용자가 스마트 햅틱 장갑을 끼고 움직이면 아바타 로봇 손이 사용자의 손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 했으며, 유리, 종이, 실크 등 8가지 다른 물질의 질감도 93% 정확도로 인식했다.
  
소리듣는 인공피부 센서 기반 조종 기술의 특징과 응용 분야.(UNIST 제공) © 뉴스1
소리듣는 인공피부 센서 기반 조종 기술의 특징과 응용 분야.(UNIST 제공) © 뉴스1

개발한 센서는 달팽이관 기저막처럼 두께, 다공성, 면적 등이 다른 단위 마찰 전기 센서 여러 개가 연속적으로 붙어 있는 형태다.

특히 센서 내부 구조를 특수하게 설계해 기존 평면 형태 센서보다 압력 민감도를 최대 8배 향상했다.

인식 주파수 대역폭도 45~9000Hz(헤르츠)로 사람의 심전도 신호(0.5~300Hz), 근전도 신호(50~3000 Hz), 심음도 신호 (20~2만Hz), 목소리(100~400Hz)와 같은 생체 신호를 모두 인식할 수 있다.

외부 소음 환경에서도 머신 러닝을 통해 95% 정확도로 사람 목소리만 인식 가능해 소음 제거 기능을 탑재한 마이크로도 쓸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미국과학협회(AAAS)에서 발행하는 '사이언스 (Science)'의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3월 25일(현지 시각) 자로 게재됐다.

미래창조과학부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이엠텍,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쉽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minjuman@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