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우버 경쟁사는 수수료 0원' 이유는?…'프로토콜 경제' 보고서 톺아보니

"中企·소상공인, 프로토콜 경제에서 '사회적 자본' 증대 효과 누릴 것"
중기연, 박영선 장관에 연구결과 보고…중기부 정책에 담길 예정

(서울=뉴스1) 조현기 기자 | 2021-01-07 06:50 송고
© News1 이은현 디자이너
© News1 이은현 디자이너

'우버 2000원 vs 라주즈 0원'

서울 강남에서 종각까지 택시비를 1만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세계 최대 차량 공유 업체 우버와 이스라엘 카셰어링 업체 라주즈가 가져가는 수수료 비용이다.
쉽게 말해 우버는 손님들이 1만원의 비용을 지불하면 기사들이 8000원을 받고 회사가 2000원의 수수료를 챙긴다.

이에 비해 라주즈 손님들은 우버 이용비보다 저렴한 9000원만 지불하고 이를 모두 기사들이 챙긴다. 기사, 손님 모두 우버를 이용하는 것보다 윈윈인 셈이다.

라주즈 본사는 수수료를 한 푼도 가져가지 않는 대신 서비스 결제 수단인 암호화폐 '주즈(Zooz)' 토큰을 발행하는 과정(ICO)을 통해 비지니스를 운영한다. 라주즈 서비스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 암호화폐 가치가 상승해 이익을 얻는 구조이다.

무엇보다 라주즈 수수료 0원 비결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별도 플랫폼 운영이 필요 없이 소비자와 기사를 실시간으로 빠르게 연결시켜 손님 정보, 결제 등을 돕는다. 거래 장부도 분산돼 있어 위변조도 매우 힘들다.
라주즈는 최근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화두를 던져 활발히 논의 중인 '프로토콜 경제'가 현실에서 구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모범 사례로 꼽힌다. 

 
 

◇ "플랫폼 대안 프로토콜 경제, 부의 쏠림현상 막아"…'우버'도 변화 받아들여


7일 중기부 싱크탱크인 중소기업연구원이 최근 박영선 장관에게 보고한 '프로토콜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중기연은 프로토콜 경제에 대해 '블록체인으로 개인 간 프로토콜(규약)을 설정해 거래하는 경제'라고 정의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거래비용 절감과 혜택(인센티브)을 누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보고서는 프로토콜 경제가 현재 플랫폼 경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프로토콜 경제는 '플랫폼 경제'에 대한 문제의식 속에 탄생했다. 마치 경제사(史)에서 독점자본주의에 대한 반(反)작용으로 수정자본주의가 나온 것과 같은 맥락이다. 

프로토콜 경제 옹호론자들은 플랫폼 경제가 만들어낸 폐쇄적인 프로토콜(약속)이 열심히 일한 플랫폼 근로자에겐 적은 댓가가 가게끔 설계됐고, 소수의 플랫폼 운영자에게만 부(富)의 쏠림현상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하지만 프로토콜 경제는 민주적이고 개방된 프로토콜(약속)을 만들어 성장에 대한 부를 구성원들이 골고루 나눠가질 수 있다고 설명한다.

우버와 라주즈 사례가 '플랫폼 경제 한계와 프로토콜 경제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우버의 경우 창업자와 경영진들은 막대한 부를 축적했지만, 여기에 참여하고 있는 기사들의 소득은 큰 차이가 없다. 반면 라주즈 기사들은 우버 기사보다 더 큰 혜택을 받고 있다.

우버 역시 플랫폼 경제의 한계를 인식하고 최근 '프로토콜 경제'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우버 운전자 및 플랫폼 노동자에게 1년 보상금 가운데 15%를 지분으로 줄 수 있도록 허용했다. 우버 기사들이 우버 플랫폼 성장에 기여한 대가를 더 많이 받을 수 있게 된 셈이다. 

박영선 장관이 블록체인 벤처·중소기업과의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0.11.18 © 뉴스1
박영선 장관이 블록체인 벤처·중소기업과의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0.11.18 © 뉴스1

◇ 프로토콜 경제에서 中企·소상공인은?…'사회적 자본' 증대 효과 누릴 것

또 중기연은 프로토콜 경제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을 증대시키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했다.

현재 플랫폼 경제 체제에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은 계약관계 약자(乙)로서 플랫폼 운영자(甲)의 일방적인 지시와 폐쇄적인 결정에 순응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하지만 프로토콜 경제에서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사장들이 개방적인 프로토콜(계약)에 목소리를 낼 수 있다. 따라서 프로토콜 경제가 진행될 수록 사회적 자본이 커질 수 밖에 없다는 논리이다. 

중기연은 프로토콜 경제 속 사회적 자본이 더 커지기 위해선 △신뢰 △규범 △네트워크 △인프라 등 4가지 축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에 알맞은 프로토콜 경제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제언했다. 일례로 법제 정비(특별법 제정 혹은 3개년 계획 수립), 블록체인 전문인력 양성, 프로토콜 경제모델 가이드라인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노민선 중기연 미래전략연구단장은 "프로토콜 경제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교섭력 제고를 통해 경제 사회적인 효율성을 제고하는 성장 친화적인 패러다임"이라며 "우리 사회가 지향하는 '동반성장', '포용성장', '상생경제' 등을 추구할 수 있는 경제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 보고서 내용은 중기부가 이번 분기에 발표할 '프로토콜 경제 발전전략'에 담길 예정이다.


chohk@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