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투명·유연한 전극소재 은 나노와이어 상용화 앞당긴다

UNIST 고현협 교수팀 대면적 은 나노와이어 정렬기술 개발

(울산=뉴스1) 이상문 기자 | 2017-04-18 10:00 송고
UNIST 화학공학부 고현협 교수. © News1
투명하고 유연한 전극 소재인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의 상용화가 앞당겨질 전망이다. 산업에서 쓰이는 코팅 공정을 적용해 대면적으로 은 나노와이어를 정렬시키는 기술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UNIST는 이 학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고현협 교수팀은 미국 듀크대의 스테픈 크래익 교수팀과 공동으로 대면적으로 교차 정렬된 은 나노와이어 투명전극으로 이뤄진 ‘플렉시블 역학변색형 압력감지 터치스크린’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터치스크린은 누르는 힘의 위치뿐 아니라 강도까지 감지할 수 있는 3차원 압력 센서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사용자가 누르는 강도와 필기 패턴까지 인식해 색깔 진하기로 나타낼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플렉시블 역학변색형 압력감지 터치스크린은 대면적으로 교차 정렬된 은 나노와이어 기반의 투명전극과 힘을 받으면 색깔이 변하는 역학변색형 고분자를 결합한 구조다.

은 나노와이어는 단면 지름이 나노미터(㎚) 단위인 아주 작은 선이다. 이 물질은 유연하면서 전도성이 뛰어나 투명전극의 재료로 각광받는다. 하지만 은 나노와이어를 제어하기가 까다로워 대면적으로 균일한 필름을 만들기는 어려웠다.

고현협 교수팀은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산업계 인쇄 공정에서 널리 이용되는 ‘바 코팅 방법’으로 은 나노와이어를 규칙적으로 교차 정렬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로 만든 가로세로 각 20cm인 대면적은 나노와이어 기반 투명전극은 전기가 잘 통하고 투명하며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다.

강세원 연구원과 조승세 연구원이 바 코팅 기법으로 대면적 은 나노와이어 투명전극을 만들고 있다. © News1
강세원 연구원과 조승세 연구원이 바 코팅 기법으로 대면적 은 나노와이어 투명전극을 만들고 있다. © News1

이번 연구를 주도한 조승세 UNI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기존 기술 은 나노와이어 투명전극 제조법은 무질서하고 불균일한 필름을 만드는 데 그쳤고 대면적화도 어려웠다”며 “이번 기술은 상용화된 바 코팅 기술을 응용해 대면적 은 나노와이어 필름을 쉽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역학변색형 고분자는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감지해 색깔 진하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터치스크린에 적용하면 기존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이 위치만 표시하는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누르는 강도에 따라 변하는 색깔 진하기를 정밀하게 분석하면 누른 위치와 강도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동 제1저자인 강세원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은 “사람이 터치스크린에 글씨를 쓸 때 누르는 접촉강도를 정밀하게 인식해 사람마다 다른 필기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며 “3차원 압력 감지를 통해 새로운 개념의 기계-사람간 인터페이스 구현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고현협 교수는 “바 코팅에 기반한 대면적 은 나노와이어 정렬 기술은 산업계에서 겪고 있는 은 나노와이어 투명전극의 한계를 획기적으로 극복한 만큼 상용화를 앞당길 원천기술이 될 것”이라며 “누르는 힘과 위치를 동시에 인식하는 3차원 터치스크린 개발은 중요한 미래 기술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iou518@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