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전랑외교' 중국, 소프트 외교 추진…'한한령' 해제 파란불?

시진핑 "각국과 인문교류 강화…민심 얻는 노력도 병행"
전문가 "시 주석 인문교류 발언 주목…한한령 개선 여지"

(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2021-06-03 07:30 송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신화망 캡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신화망 캡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중국 공산당 간부들에게 국제사회에서 친화적인 중국 이미지를 형성할 것을 주문하면서 '중국 이미지 탈바꿈'에 초점을 맞추는 모양새다.

특히 시 주석은 이 과정에서 '인문교류 활성화'를 강조했는데 일부에서는 '한한령'(限韓令·한류금지령) 해제 가능성에 파란불이 켜졌다는 평가도 내놓는다.
2일 인민일보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지난달 31일 '국제 전파 능력을 새롭게 건설하자'라는 주제로 30차 집단학습을 가졌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각종 형식의 인문교류 활동을 더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며 "각국의 인문교류와 함께 각국의 민심을 얻을 수 있는 그런 노력을 해야한다"고 주문했다.

시 주석은 이날 중국의 목소리가 국제사회에 제대로 전파가 되지 않고 있다며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제고할 것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중국 문화의 감화력 △중국 이미지 친화력 △중국 담론의 설득력 △국제여론 주도 능력 등의 제고도 주문했다.
시 주석의 일련의 발언을 두고 '전랑외교'(戰狼外交·늑대처럼 힘을 과시하는 외교)로 평가 받는 중국의 외교 정책이 '소프트 파워'(문화·예술 등을 앞세워 상대방의 행동을 바꾸는 힘) 쪽으로 무게추가 옮겨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외신들도 유연한 외교로의 전환 가능성에 주목하는 모양새다. 미국의 블룸버그 통신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동맹을 연합, 중국을 포위하자 위기감을 느낀 중국이 외교정책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참고로 중국의 전랑외교는 '중국몽'(中國夢·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기치로 내건 시 주석 체제의 외교 특징이다. 이는 중국이 경제력·군사력 등을 바탕으로 보복과 같은 공세적인 외교를 보이는 것을 통상적으로 일컫는다.

전랑외교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 사태 이후 중국 당국의 입장을 강경한 어조·행보로 관철시키려는 모습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는 평가다.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 홍콩의 반정부 행위를 처벌하는 홍콩보안법 제정 등이 대표적인 예로 손꼽히고 있다.

아울러 미중 패권 경쟁 속 이번 중국의 외교 기조 전환은 한국 입장에서는 나쁠 게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근린(가까운 이웃) 외교' 관점에서 한국에게 먼저 유화적인 손짓을 하는 게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이날 시 주석이 '인문교류 활성화'를 언급하며 동시에 강조한 '각 국가의 민심을 얻을 수 있는 노력'은 한중 양국 간 문화컨텐츠 교류 등의 정상화를 점쳐볼 수 있는 대목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아울러 이날 발제자로 장웨이웨이 푸단대학교 교수가 나섰는데 그는 국내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문화와 문명을 통해 세계와의 공통분모를 모색하는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는 점도 눈여겨 볼만하다는 평가다.

양갑용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장 교수를 이같이 평가하며 "그러한 장 교수 얘기를 시 주석이 들었다는 것은 앞으로 군사·안보 분야보다는 주변국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고 동시에 중국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일을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양 위원은 그러면서 "특히 인문교류가 시 주석 입에서 나왔는데, 주변국과의 관계 설정에 있어서 중국의 영향력, 이미지를 재고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소프트 적인 방법을 동원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며 "예를 들어 한국 입장에서는 중국이 공식적으로 한한령을 인정하지는 않지만 좀 더 전향적인 방향으로 개선될 여지는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김흥규 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장은 "한한령에 대해서는 중국이 공식적으로 선언했다고 한 적이 없기 때문에 '공식 해제'를 언급하지는 않겠지만, 확실한 것은 상대적으로 미국에 비해 소홀했던 소프트 파워 외교에 대한 중요성, 그것이 얼마나 강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지 중국이 체감한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중국은 강압 외교가 가져올 수 있는 비용을 실감했기 때문에 훨씬 더 우호적이고 신중한 태도로 대외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커졌다. 일단 한국한테는 좋은 소식"이라며 "다만 간과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 미중 경쟁의 맥락 속에서 나온 얘기라는 점이다. 여전히 우리 외교에는 도전 요인으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고 더 정교한 대응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ntiger@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