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밥상물가 비상]②잡힐 듯 잡히지 않는 물가…체감물가는 '최악'

2월 생활물가 상승률 3.7%…7개월째 전체 물가 상승률보다 높아
근원물가 하락, 체감 어려워…인플레 악순환 가능성도

(세종=뉴스1) 이철 기자 | 2024-03-31 07:00 송고 | 2024-03-31 10:31 최종수정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25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나로마트 성남점에서 물가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2024.3.25/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25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하나로마트 성남점에서 물가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2024.3.25/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전체 소비자물가가 비교적 안정세로 전환하고 있지만, 국민이 느끼는 물가는 여전히 높다.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 상승률이 전체 물가를 웃돌면서 생기는 현상이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2020=100)는 전년 동월 대비 3.1%를 기록해 1월(2.8%)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10월(3.8%)까지 3%대 후반의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11월(3.3%), 12월(3.2%), 올해 1월(2.8%)까지 낮아졌다. 지난달 3.1%로 반등했지만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이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낮아진 물가 상승률을 피부로 체감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 중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전월세 제외)은 전년 동월 대비 3.7%를 기록해 1월(3.4%)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체 물가 중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144개 품목으로 구성됐다. 식품, 외식, 의복, 공공요금, 진료비, 약품 등이 포함된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4.5%를 기록한 후 △11월 3.9% △12월 3.7% △올해 1월 3.4% △2월 3.7%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7월(전체 지수 2.4%, 생활물가지수 2.0%) 이후 7개월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생활물가지수 중에서도 지난달 '식품' 물가 상승률은 5.4%로 전월(4.9%)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국민과 가장 밀접한 먹거리 물가가 전체 물가 상승률보다 매우 높은 셈이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2024.2.21/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2024.2.21/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물가지표 중 전체 물가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은 근원물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를 기준으로 하는데, 주변 환경에 민감한 식료품과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하고 물가의 추세적 흐름을 보기 위함이다. 해당 지수는 지난해 10월(3.1%) 이후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줄곧 2%대를 유지해 왔다.

정부도 이를 근거로 향후 물가 전망을 비교적 낙관한 것이 사실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5일 경기 성남시 하나로마트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나라가 에너지 가격이나 식료품 가격을 제외하고 추세적 가격 흐름을 보는 근원물가는 주요국 대비 낮은 상황"이라며 "하반기로 가면 전체적으로 모든 체감 물가가 지금보다 안정적으로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전체 물가가 다소 안정세에 접어든다고 하더라도 지금처럼 식료품 등 생활 밀접 물가가 빨리 잡히지 않는다면, 정부 입장에서 상당한 부담이 될 전망이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0.3%p) 중 과실(과일) 물가 상승이 차지하는 부분이 0.17%p"라며 "채소, 과일 가격이 체감 물가를 높이는 것을 넘어 실제 전체 물가에도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볼 문제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생활물가가 올라가면 (근로자들이) 임금을 올려달라고 할 것이고, 이는 시차를 두고 인플레이션이 재발하는 악순환에 들어갈 수도 있다"며 "먹거리가 여러 유통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정부가 재정을 풀려고 하면 소비자한테 쿠폰 등을 주는 방법이 있겠고, 장기적으로는 수입을 늘리는 방법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iron@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