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이주현의 유(流)튜브]치킨값 논란…"바보야! 문제는 배달비야"

가맹점과 소상공인들 어려움 가중…결국 소비자 피해 ↑
'가격 인상 업체 낙인·가격 동결 노력 왜곡' 현상 아쉬워

(서울=뉴스1) 이주현 기자 | 2022-03-29 06:50 송고 | 2022-03-29 09:48 최종수정
배달노동자들이 6일 서울시내에서 점심시간 음식을 배달하고 있다. 2022.1.6/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배달노동자들이 6일 서울시내에서 점심시간 음식을 배달하고 있다. 2022.1.6/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배달 플랫폼 업체들이 배달료를 올렸습니다. '배달비 1만원 시대'라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배달 플랫폼의 독점적 지위와 배달대행업체까지 생기는 산업 특성까지 겹치니 소상공인·자영업자 어려움만 가중되고 있습니다. 물론 가장 큰 피해는 소비자죠. 주문하는 음식값보다 배달비를 더 내야하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 생겼으니 말이죠.

◇배달비 누가 내는 건가요?
"배달비 인상에 따라 불가피하게 음식값을 인상했습니다. 그런데 소비자들은 배달비는 자신들이 부담하는데 왜 배달비 핑계를 대냐고 해요. 그게 억울합니다."

서울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한 소상공인의 하소연입니다. 소비자가 배달 플랫폼을 이용해 음식을 주문할 경우 배달비를 지불하는데, 대다수 소비자들이 이 때 들어가는 비용이 배달비인 줄 압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나 배달비 관련 기사 댓글을 보면 "고객이 다 내는것 아니었나?", "배달비로 인해 왜 식당이 손해를 본다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등이 있습니다.
배달 플랫폼을 이용해 음식을 주문하면 평균 중개 수수료 1000원에 배달비 5000원을 더해 약 6000원이 배달료로 나갑니다. 중개 수수료는 식당 점주 부담입니다. 배달비를 '고객 3000원, 가게 2000원' 혹은 '고객 2000원, 가게 3000원' 등의 방식으로 책정하죠.

즉 소비자가 내는 배달비가 싼 곳은 점주가 부담을 감수하고 매장을 운영하는 곳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배달의 민족은 지난 22일 음식 값에 비례해 중개 수수료를 책정하는 내용의 새로운 요금제 3가지를 도입했습니다. 가장 많은 자영업자가 선택한 '기본형 요금제' 중개 수수료는 음식 값의 6.8%, 배달비 6000원입니다.

중개 수수료와 배달비 합이 6000원이었는데 이제 배달비만 6000원으로 올랐습니다. 수수료를 감안하면 총 배달료는 최소 1000원 이상 오릅니다. 소비자가 비싼 금액을 주문할 경우 중개 수수료는 더 많이 지불해야 하죠.

예를 들어 단건 배달인 '배민1'을 통해 1만8000원짜리 치킨 1마리를 팔 경우 점주는 중개 수수료 1224원에 배달비 6000원을 포함해 7224원의 배달료를 지불하게 됩니다.

물론 점주 재량으로 배달비 6000원을 소비자와 일정 금액 나눠 부담하지만 치킨 값의 40%가 배달비 명목으로 나갑니다. 

치킨값(1만8000원)에서 배달료(7224원)를 제외하면 1만776원이 남습니다.

최근 소상공인을 위한 '소신 발언'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윤홍근 BBQ 회장이 밝힌 생계값(1.6㎏) 4320원, 물류 및 도계비 1300원에 파우더와 기름값 등 원가를 고려하면 치킨 1마리당 마진은 극도로 낮아지게 됩니다.

여기에 부가가치세(VAT) 10%(1800원)를 점주들이 부담하는 점을 고려 할 경우 치킨 1마리를 팔아도 마진은 1000~2000원 수준에 불과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또 점주들의 가게 운영비까지 생각한다면 "팔아도 남는게 없다"는 하소연이 그냥 나온 말이 아닙니다.

21일 서울 강남구 배민라이더스 남부센터에 배달용 오토바이 앞으로 한 배당 노동자가 지나가고 있다. 2022.2.21/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21일 서울 강남구 배민라이더스 남부센터에 배달용 오토바이 앞으로 한 배당 노동자가 지나가고 있다. 2022.2.21/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팔아도 남는게 없다" 1만8000원 치킨, 배달비만 7224원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그나마 상황이 낫습니다. 자사 앱 강화와 다양한 마케팅 활성화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가맹점주들의 매출을 보전하고자 배달 수수료를 지원하고 각종 프로모션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어렵지 않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이런 지원을 받지 못하는 자영업자는 더 힘들 수밖에 없죠. 가격 인상 압박은 계속되는데 매출 하락, 이미지 악화가 두려워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다수 자영업자들은 가격 인상을 망설이고 있지만 한계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배달비 상승분을 포함해 가격을 인상해도 억울한 처지에 놓인거죠. 이런 전후 관계를 따지지 않고 업체 및 자영업자에게만 가격 인상 책임을 묻는 여론의 따가운 시선 때문입니다.

그러는 동안 배달료는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배달 주문이 매출의 80~90%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배달 주문을 포기할 수도 없습니다. 고객들의 배달 플랫폼 사용 비중이 높다보니 플랫폼 이용을 중지하는 것도 어렵죠.

자영업자와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일부 자영업자들은 배달비를 아끼기 위해 직접 배달에 나서고 있지만 품질과 서비스 저하, 배달 지연 등의 불만을 듣기도 합니다. 

정부는 오르는 배달비를 잡기 위해 차선책으로 배달 플랫폼별 '배달비 공시제'를 도입했지만 효과는 없습니다. 그래서 실효성 없는 배달비 공시제가 아닌 플랫폼 간 배달비 인하 경쟁을 유도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jhjh13@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