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朴대통령, 아세안 중시·근중원일(近中遠日) 뚜렷

APEC,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계기로 새정부 외교 기조 드러나
집단 자위권 논란에 '침묵'...지나친 강대국 '눈치보기' 비판도

(서울=뉴스1) 허남영 기자 | 2013-10-14 03:31 송고
박근혜 대통령이 13일 오전 인도네시아·브루나이 순방 일정을 마치고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하며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박 대통령은 순방기간동안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와 브루나이에서 열린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등에 잇따라 참석해 보호무역 철폐와 무역자유화 등을 강조했다. 인도네시아 유도요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는 올해 내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인 세파(CEPA)를 타결짓기로 합의했다. 2013.10.13/뉴스1 © News1 양동욱 기자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을 중시하고 중국과는 더욱 가까워지며, 일본과는 거리를 둔다'.
박근혜 대통령은 8일간의 인도네시아와 브루나이 순방을 통해 이러한 외교 기조를 분명히 드러냈다.

박 대통령은 이번 순방기간 중 브루나이 수도 반다르스리브가완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정상회의와 아세안+3 정상회의, 동아시아정상회의(EAS) 등 3개의 아세안 관련 다자 정상회의에 잇따라 참석하면서 아세안 회원국 정상들과의 신뢰 구축 외교에 많은 공을 들였다.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박 대통령은 "한국은 아세안 국가들의 '신뢰와 행복의 동반자'"라면서 '한·아세안 안보대화 신설'을 제안하는 등 경제협력 분야를 넘어 정치·안보 분야로 확대하자는 의지를 피력했다.
정부 외교 당국자는 "박 대통령이 자신의 국정철학인 '신뢰와 행복'을 아세안 국가들과 공유하겠다고 밝힌 것"이라며 "아세안을 중시하는 박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아세안 국가들과 정치·안보, 사회·문화 분야로의 협력 확대를 통해 '공동평화(Shared Peace)', '공동번영(Shared Prosperity)', '공동발전(Shared Progress)' 등 이른바 '3P'를 제의함으로써 아세안 회원국 정상들의 환영을 받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순방이 경제적 실리를 챙기기 위한 '세일즈외교'이기도 하지만 상생과 동반성장을 강조함으로써 아세안 국가 정상들의 마음을 얻는 외교에 방점이 찍혔다"고 말했다.

새 정부의 '아세안 중시' 외교는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이번 주에는 베니그노 아키노 3세 필리핀 대통령이 박 대통령의 초청으로 국빈방문해 정상회담을 가진다.

필리핀은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와 더불어 'VIP 경제권'으로 불린다. 세계는 이들 세 국가의 영문 머릿글자를 딴 'VIP경제권'에 주목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베트남, 이번에 인도네시아를 국빈방문한데 이어 필리핀 정상을 초청해 정상회담을 가짐으로써 'VIP경제권' 정상들과 모두 만나게 된다.

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연내 국빈방문도 확실시 돼 아세안 정상들과의 만남은 연말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 취임 이후 아세안 10개 회원국 중 라오스와 캄보디아를 제외한 8개국 정상과의 회담이 취임 첫해에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순방을 계기로 중국과 가까워지고 일본과 거리를 유지하는 '근중원일(近中遠日)' 기조도 더욱 뚜렷해졌다.

박 대통령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기간 중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고, 부르나이에서 열린 EAS(동아시아 정상회의)에서는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 환담했다.

지난 6월 중국 국빈방문에 이어 이번 순방을 통해 중국 권력 서열 1,2위를 또 다시 만나 지도부간 신뢰를 쌓고 양자 관계를 돈독히 했다.

하지만 아베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게는 냉담한 반응을 나타내 아베 총리 취임 후 우경화로 치닫는 일본과의 불편한 관계를 숨기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지난 7일부터 10일까지 APEC 정상회의와 아세안+3 정상회의, EAS 등을 계기로 아베 총리와 여러차례 만나기도 했고 바로 옆자리에 나란히 앉아 대화를 나눌 기회도 있었으나 박 대통령은 아베 총리의 적극적인 대화 시도를 외면했다.

과거사에 대한 일본 정부의 진정성 있는 조치 없이는 양국 정상회담을 하기 어렵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전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 대통령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일본의 '자위권 행사'와 관련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강대국 '눈치보기'가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달초 미국은 미·일 안전보장협의위원회를 통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을 적극 지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혀 동북아, 특히 중국의 반발을 사고 있다.

따라서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과 리 총리와 환담 때 이 문제가 거론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청와대는 전혀 언급이 없었다고 부인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시 주석이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포명했으나 박 대통령은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박 대통령은 이번 순방기간 중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을 만나 환담했으며 케리 장관이 일본의 자위권 행사 지지에 대한 미국측 입장을 전달했을거이란 전망도 있었으나, 청와대는 환담 내용을 일체 공개하지 않고 있다.

북핵문제 등 한반도 상황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는 한국이라고는 하지만 군사대국화로 치달을 수 있는 일본의 재무장 움직임을 외면하는 것은 선뜻 이해되지 않는다라는 반응을 낳기 충분했다.


nyhur@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