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이브에 이어 큐브엔터테인먼트까지 '대체불가능한토큰'(NFT) 및 메타버스 사업 진출을 본격화 한다고 밝혔다. 2021.9.2/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
하이브에 이어 큐브엔터테인먼트까지 '대체불가능한토큰'(NFT) 및 메타버스 사업 진출을 본격화 한다고 밝혔다.
22일 큐브엔터테인먼트는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 기업 애니모카브랜즈와 합작법인(JV)을 설립한데 이어 애니모카브랜즈의 메타버스 자회사인 더 샌드박스 세바스티앙 보르제 대표와 만나 메타버스 사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4일에는 하이브가 블록체인 업체 두나무와 사업설명회를 열고 '확장된 팬 경험'을 내세우며 지식재산(IP)기반 NFT 발행 계획을 발표했다. 구체적인 사업 모델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NFT 플랫폼 구축 및 디지털 NFT 굿즈 개발 및 판매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게임을 넘어 연예기획사들까지도 메타버스를 비롯해 메타버스에서 활용하기 위한 NFT 기술을 속속 도입하고 있는 모양새다.
![]() |
큐브엔터테인먼트 측은 22일 "더 샌드박스의 세바스티앙 보르제 대표와 만나 메타버스 사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큐브엔터테인먼트 제공) © 뉴스1 |
◇SM·JYP·하이브에 이어 큐브도 "샌드박스와 손잡고 NFT·메타버스 진출"
이번에 큐브엔터테인먼트가 손을 잡는 더 샌드박스는 NFT 기술을 바탕으로 한 메타버스 서비스 '더 샌드박스'를 서비스하는 기업이다.
샌드박스는 등록 지갑 50만개 이상, 샌드박스 내 부동산인 랜드(LAND) 소유자 1만2000명 이상, 판매액 1억4400만달러(약 1700억원) 이상을 기록한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큐브엔터테인먼트는 더 샌드박스 플랫폼 내에서 'K팝 메타버스랜드'를 설립해 △(여자) 아이들 △비투비 △CLC △펜타곤 등 자사의 아이돌 그룹들이 글로벌 팬들과 만날 수 있도록 할 것으로 보인다.
안우형 큐브엔터테인먼트 대표는 "큐브엔터는 잠재력 있는 인재를 발굴한 후 전문화된 트레이닝 시스템을 바탕으로 우수한 아티스트를 개발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며 "더 샌드박스와 협업을 통해 메타버스 내 크리에이터들과 플레이어들의 진정한 소통의 장을 마련해 아티스트와 팬들이 만날 수 있는 방식을 다양화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처럼 팬과의 접점을 늘리기 위한 메타버스 서비스 외에도 NFT 기술을 바탕으로 '굿즈' 사업의 영역 역시 현실에서 가상현실까지 넓힐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
(왼쪽부터) 방시혁 하이브 이사회 의장과 송치형 두나무 이사회 의장 (하이브 유튜브 갈무리) © 뉴스1 |
◇연예기획사도 앞다퉈 '미래먹거리' NFT·메타버스 발표
이같은 NFT 기술은 게임을 비롯한 콘텐츠 업계에서는 '미래먹거리'로 여겨지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까지 암호화 기술로 복제가 불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어 안정된 가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최근 연예기획사 입장에서도, 소속 아이돌을 소재로 한 디지털 콘텐츠나 상품을 NFT를 활용해 '디지털 자산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방시혁 하이브 의장은 지난 4일 사업설명회에서 '포토카드'를 예시로 들었다. 현재 아이돌 업계에서는 실물 앨범을 구매하면 그 안에 들어있는 멤버들의 '한정 포토카드'가 일종의 수집품처럼 여겨지고 있다. 원하는 멤버의 포토카드를 얻기 위해 수십, 수백장의 앨범을 구매하는 팬들도 적지않다.
하이브는 이같은 한정 포토카드를 NFT기술로 디지털 자산으로 만든 뒤 자사의 플랫폼인 '위버스'를 통해 수집하거나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또 현재로서는 '사진'만 제공되는 포토카드를 디지털 자산화하면서 영상·음악·목소리까지 추가할 가능성도 제시했다.
하이브와 큐브 외에도 JYP는 지난 7월 두나무와 NFT 플랫폼 사업을 할 신규 합작법인(JV) 설립에 합의하고 투자를 진행하기로 했다.
SM 역시 자회사 디어유가 운영하는 팬 플랫폼을 바탕으로 NFT 기술 도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
트위터의 한 K팝 팬은 "K팝 아이돌의 지적재산(IP)을 활용한 수익 창출에 과도하게 치중하고 있다"며 "자본주의에서 윤리적 소비가 없는 것은 사실이지지만, 하이브의 NFT 도입은 기후변화 대응을 강조하는 UN과 함께하는 BTS의 행보와는 정반대"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트위터 갈무리) © 뉴스1 |
Kri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