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10월에 쏘아올린다…탄소중립 연구 기반도 마련

[2021 과기정통부 업무보고] 본격 '우주영토 확장' 꿈꿔
2050년까지 탄소중립 사회 실현 위한 R&D 일정 구체화

(서울=뉴스1) 조소영 기자 | 2021-01-20 12:00 송고
조립 중인 누리호 1단 체계개발모델(EM).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020.1.19/뉴스1
조립 중인 누리호 1단 체계개발모델(EM).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020.1.19/뉴스1

정부가 오는 10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를 시작으로 우주영토 확장의 꿈을 꾼다. 2050년까지 탄소중립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개발(R&D)도 추진된다.

2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1년도 업무계획'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주력 사업을 이같이 밝혔다.
◇우주시대 개막…독자개발 발사체 시작으로 영토 확장

올해 과기정통부는 10월 누리호 발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우주시대를 개막한다.

당초 올해 2월과 10월 발사 예정이었던 누리호는 지난해 12월 제18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1단부 제작의 보완 이후로 발사 시기(2021년 10월, 2022년 5월)가 연기됐다.
누리호 발사 성공 시, 이는 세계 7번째로 우주에 실용급 중형 위성(1.5톤)을 수송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지난해 7월 우주발사체에 대한 고체연료 사용 제한을 완전히 해제하는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이 발표되면서 과기정통부는 고체연료 발사체 발사장 구축 사업(2021~2024년)도 추진 중이다.

통상 액체연료 발사체는 연료 효율이 좋고 세밀한 발사체 조종이 가능하지만 비용이 비싸다. 반면 고체연료 발사체는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지지만 개발, 생산 비용이 적어 발사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누리호 발사 이후 과기정통부는 우주탐사 계획을 좀 더 본격화한다. 우선 2022년까지 달궤도선 개발을 진행한다. 올해 8월까지 조립을 완료한 뒤 2022년 3월 환경시험을 거쳐 같은 해 8월에 발사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아울러 우주탐사 비전을 반영한 우주탐사 로드맵을 올해 하반기까지 마련해 2030년 달착륙선 발사 등 후속 우주탐사를 준비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3월에는 차세대 중형위성을 발사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는 국토관리, 지도제작 등 공공수요를 충족하는 것과 더불어 국가 위성기술의 본격적인 민간 이전이 이뤄진다는 의미가 있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민간 우주생태계 발전을 위해 이번 차세대 중형위성은 플랫폼 기술(핵심기술의 표준화)을 민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고 밝혔다.

정 차관은 이어 "차세대 중형위성 2호부터는 민간이 전부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려 한다"며 "이러한 민간 지원을 충분히 할 수 있는 법적체계가 필요해 올해 하반기까지 민간우주개발촉진법이 제정될 수 있도록 추진하려 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와 함께 △위치·항법·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추진(올해 상반기 예타 완료·2022년 예산 확보) △핵심 우주부품의 국산화(2021~2030년, 2115억원) △첨단 우주 클러스터 육성(발사체 및 위성의 부품 제작·조립·시험 등을 원스톱으로 수행)을 위한 법령 제정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 갈무리) 2021.1.20/뉴스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 갈무리) 2021.1.20/뉴스1

◇2050 탄소중립 실현…미래 먹거리는 바이오·소부장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일정도 구체화돼 추진된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과 제거량을 같게 해 결국 순배출량이 영(0)이 되도록 한다는 개념이다.

이에 따라 오는 3월에는 탄소중립 R&D 투자방향이 수립된다. 부문별(에너지 효율화·신재생에너지·CCUS 등) 중점기술 발굴 및 중장기 기술 로드맵도 만들어진다.

과기정통부는 탄소중립과 관련된 글로벌 선도기술 확보를 위한 '2050 탄소중립 기술혁신 10대 프로젝트 추진전략'도 3월 중 확정할 계획이다.

아울러 대학, 연구기관이 보유한 탄소중립 기술 중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은 오는 6월까지 사업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신속 지원된다.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촉진법 제정, 탄소중립 R&D 기업 참여 유도 및 연구인력 확충 방안은 하반기께 마련된다.

과기정통부는 미래 세대를 위한 선도적 먹거리 사업 발굴에도 주력한다. 대표적으로 'K-바이오'를 주력산업으로 키울 계획이다.

신약, 의료기기, 재생의료 분야에 대해 R&D에서 사업화까지 전주기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국가 바이오 데이터 스테이션을 조성할 예정이다.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술 확보에도 집중한다.

과기정통부는 현재의 공급망 안정을 위해 소부장 핵심품목(100+85개)의 연구를 확대하고 5년 뒤 새로운 공급망을 창출할 미래선도품목을 곧 선정할 계획이다.

이외 △천리안위성 2B호를 활용한 미세먼지 입체관측 강화 △중장기 원자력 안전·해체 R&D 예타 추진 △소형 원자로(SMR) 기술 개발 등이 추진된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를 확대하는 등 '사람 중심의 안정적 기초연구'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달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에 따라 부처별로 산재된 R&D 규정(286개)을 정비하고 연차평가 폐지 등 각종 행정 부담은 감축한다.

아울러 이공계 대학생, 대학원생이 연구 중 사고를 당했다면 산재보험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가 적극 추진된다.

각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재정 효율화 및 안정적 재원확보 방안 마련도 별개로 논의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2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0.11.27/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1월2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0.11.27/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cho11757@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