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네이버·카카오톡·패스까지…전국민 QR 출입증 시대 '활짝'

이용자 각각 3000만·4700만·3000만…"전국민 이용"
카카오톡 청·중·장년은 물론 노년층 이용자까지 확보

(서울=뉴스1) 손인해 기자 | 2020-06-20 07:00 송고 | 2020-06-20 11:53 최종수정
정부가 수도권 방역강화 조치를 무기한 연장한 가운데 지난 14일 오전 서울 송파구 신천동성당에서 교인들이 예배에 참석하기 위해 전자출입명부(QR코드)를 찍고 있다.  © News1 이성철 기자
정부가 수도권 방역강화 조치를 무기한 연장한 가운데 지난 14일 오전 서울 송파구 신천동성당에서 교인들이 예배에 참석하기 위해 전자출입명부(QR코드)를 찍고 있다.  © News1 이성철 기자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에 이어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과 이동통신 3사 본인인증 애플리케이션(앱) '패스'(PASS)까지 전자출입명부(KI-PASS) 작성을 위한 QR코드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하면서 사실상 전국민이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20일 보건복지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복지부와 카카오는 전날 영상회의를 열고 7월 초부터 카카오톡에 전자출입명부 작성을 위한 QR코드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합의했다.
당초 카카오톡이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참여 의사를 밝힌 이후 서비스 개시 시기는 이달 말이 될 것이란 관측이 주를 이뤘으나 보안 등 기술 문제로 다소 늦춰졌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 공동 본인인증 앱 패스도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에 동참, 오는 24일부터 QR코드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정부가 지난달 24일 집단 시설의 정확한 출입 명부 작성을 위한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한 지 한 달도 안돼 전국민이 관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당시 정부는 이태원 클럽과 코인 노래방 등 집단 시설을 통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커지자 그간 유흥시설 출입자 명부가 수기(手記)로 작성됨에 따라 나타난 허위 작성 및 개인정보 유출 우려 등 문제를 해결하고 효과적 방역망을 구축하기 위해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네이버와 카카오톡, 패스앱 이용자를 각각 3000만, 4700만, 3000만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중복 가입자를 제외하더라도 사실상 전국민이 QR코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카카오톡의 경우 젊은 세대와 중·장년층은 물론 노년층 이용자까지 확보하고 있어 공공방역에 빈틈이 없도록 기여할 것으로 복지부는 보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3개 앱으로 충분히 커버 가능하고, 이들보다 더 큰 회사는 없기 때문에 더이상 참여 앱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며 "또 서버가 너무 많이 들어오면 역학조사 지원팀과 연결하는 데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카카오톡과 패스에서 관련 서비스가 도입될 때까지 이들 기업과 서비스 구현 방법과 보안 우려를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카카오와는 내주에도 관련 사안을 논의하기 위한 화상회의를 열 계획이다. 

당초 네이버와 함께 전자출입명부 시스템에 참여하기로 했던 카카오는 정부가 원하는 '카카오톡'이 아닌 '카카오페이'를 통한 인증을 제안했다가 당국과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서비스를 개시하지 못한 바 있다.

하지만 양측의 합의 불발 사실이 알려진 지 일주일 만인 지난 17일 카카오가 당국에 카카오톡에서 QR코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참여 의사를 밝혔다.

이를 두고 업계에선 "수도권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줄어들지 않는 상황에서 정부의 공공방역 노력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비판 여론에 부담을 느꼈을 것"이란 말이 나왔다.

양대 IT기업의 또 다른 축인 네이버의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참여도 카카오 입장에선 부담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이미 지난 10일부터 명부 작성을 위한 QR코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on@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