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영끌족' 한숨 돌렸지만…美 금리인상 속도 줄여도 여전한 '고금리 고통'

연준, 금리인상폭 0.25%p로 줄였으나 "연내 인하는 없다" 선언
주담대 금리 1~2년새 2배 올라…고금리 장기간 지속돼 차주 부담

(서울=뉴스1) 국종환 기자 | 2023-03-23 11:45 송고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창구의 모습.©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창구의 모습.© News1 이승배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올리는 '베이비스텝'을 밟으며 긴축 속도 조절에 나섰으나, 고금리 기조는 당분간 유지한다는 방침이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족들의 빚 고통은 올해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은행들의 금리인하 노력으로 연초 연 8%에 육박했던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는 연 6대로 낮아졌으나, 저금리 때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불과 1~2년 새 빚 부담이 2배 이상 불어난 차주도 적지 않다. 연준이 연내 금리인하 계획이 없음을 밝힌 만큼 고금리 상황은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연준은 2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기존 4.50∼475%에서 4.75~5.00%로 0.25%포인트(p) 올린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3월 이후 9회 연속 인상으로, 이로써 연준의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다만 인상 폭은 당초 '빅스텝(한 번에 금리를 0.5%p 올리는 것)' 전망이 많았었으나,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사태로 금융 불안이 커지자 시장 예상대로 0.25%p로 낮췄다. 이로 인해 시장에선 금리인상 종료 시점이 임박했다는 기대감도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금리인상 속도가 줄었다고 해서 당장 연준의 통화 긴축 기조가 끝나는 것은 아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FOMC 이후 기자회견에서 "시장이 금리인하를 예상하고 있다면 잘못된 것"이라며 "연내 금리인하는 우리의 기본 시나리오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파월 의장은 "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며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 발언으로 미국 뉴욕 증시는 1% 넘게 급락했다.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연준의 이번 금리 인상으로 한미 기준금리 역전 폭은 역대 최대인 1.50%p로 벌어졌다. 다행히 빅스텝은 피하면서 역전 폭이 덜 확대됐으나, 미국이 추가 인상이나 고금리 기조를 유지하면 한국은행 역시 이에 맞춰 대응해야 한다. 또한 대출금리의 또 다른 준거금리인 금융채 금리도 연준의 지속적인 고금리 기조 방침에 따라 다시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도 있다.

금융업계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은행 대출금리도 향후 급격한 인상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당장 금리인하 계획은 없는 만큼 현재의 높은 수준을 장기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은행들의 금리인하 노력에 올 초 연 8%를 넘었던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는 현재 가까스로 6%대로 내려왔으나, 저금리 기조 때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은행연합회 통계에서 차주들이 17개 은행에서 지난달 실제 이용한 가계대출 평균금리는 연 6.06%에 달했다.

불과 1년여 전만 해도 5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3% 초중반에서 5% 초반대에 형성돼 있었다. 1년 새 이자부담이 많게는 2배 이상 늘어난 차주가 적지 않다.

1~2년 전 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에 4억원을 연 3.5% 금리(30년 만기, 원리금균등 조건)로 빌린 경우 대출 초기 월이자 부담은 116만원(연간 약 1392만원)이었다. 원금을 합친 원리금은 179만원 정도였다.

그러나 대출금리가 현재 은행 최고 수준인 연 6.78%로 오르면 초기 월이자는 226만원(연간 약 2712만원)으로 2배가량 늘어난다. 원리금까지 더하면 은행에 매월 260만원을 갚아야 한다. 연간 원리금 상환액은 3120만원으로, 직장인 연봉의 상당 수준에 육박한다. 월급을 고스란히 은행에 내야 하는 셈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 종료가 임박했더라도 긴축 기조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금리인하를 바로 기대하긴 어려워 보인다"며 "현재와 같은 높은 수준이 장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당분간 자금계획을 보수적으로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jhkuk@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