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신냉전 속 반환 50주년 맞는 오키나와…美·日 vs. 中 '최전선'

미군, 오키나와-대만-필리핀 잇는 대중국 미사일 공격망 구축 계획
기시다 정부, 9월 오키나와주지사선거로 지지 확인 후 군비↑ 전망

(서울=뉴스1) 최서윤 기자 | 2022-05-12 15:10 송고
일본 오키나와현 미야코지마시에 위치함 시모지시마 공항에서 한 항공기가 착륙 준비를 하는 모습. 2022. 4. 22. © 로이터=뉴스1 © News1 최서윤 기자
일본 오키나와현 미야코지마시에 위치함 시모지시마 공항에서 한 항공기가 착륙 준비를 하는 모습. 2022. 4. 22. © 로이터=뉴스1 © News1 최서윤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신(新)냉전' 분석이 제기될 때마다, 중국의 대만 침공이나 미·중 갈등 충돌 우려가 나올 때마다 그 어느 지역보다 숨죽여 떠는 지역이 있다.

일본 최남단에 위치한 오키나와현은 오는 15일 '반환' 50주년을 맞는다.
미국이 2차 세계대전 때 점령한 뒤 1975년 일본에 반환했다는 의미인데, 사실 오키나와현 전체 행정구역이 포함되는 류큐제도는 류큐국(國)이었다가 한국의 조선 후기인 19세기 말 일본에 강제 병합된 아픈 역사가 있다.

오키나와의 아픈 역사는 이 뿐만이 아니다. 40개 유인도와 다수 무인도로 구성된 류큐제도 곳곳에는 미국의 아시아 최중요 군사기지로 꼽는 주일미군의 70%가 속속 배치돼 있다. 군사시설 집중으로 인한 소음과 공해, 성범죄 등 잡음이 반환 이후에도 계속되는 이유다.  

최근 오키나와에 또 다른 그림자가 드리운 건 신냉전으로 치닫는 국제 패권 갈등 폭발 우려가 그 어느 때보다 고조돼서다. 반환 50주년을 맞는 올해 오키나와 주민들은 우크라이나 일이, 대만의 우려가 남 일 같지 않다.
오키나와 미야코섬 주민 세이한 나카자토는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반환 50주년을 맞아 세계대전 참화에서 정상으로 돌아올 것이란 희망이 높아지고 있지만, 한편으론 이곳이 다시 전쟁터가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했다.

오키나와(류큐제도)는 일본에서 최남단, 동중국해에 걸쳐 대만 앞까지 이어진 40개 유인도와 다수 무인도를 가리킨다. 사진은 월드오미터(worldometers) 갈무리. © News1 최서윤 기자
오키나와(류큐제도)는 일본에서 최남단, 동중국해에 걸쳐 대만 앞까지 이어진 40개 유인도와 다수 무인도를 가리킨다. 사진은 월드오미터(worldometers) 갈무리. © News1 최서윤 기자

오키나와는 동중국해 남단에서 대만과 마주하고 있으며, 이 곳의 주일미군은 중국 군대를 포위하는 구조다. 미야코섬에서 대만까지 거리는 400km가 좀 안 된다.

미야코섬에서 200km 거리에는 중국과 영유권 갈등을 빚는 무인도 센카쿠열도(댜오위다오)도 있다.

지리적으로도 일촉즉발인데, 이곳에는 일본의 최신예 육군기지인 지상자위대(GSDF) 캠프가 위치, 중국 함정을 겨냥한 미사일도 배치돼 있다. 일본이 가진 무기 중 중국에 가장 근접한 무기다.

미야코섬 주민 시미즈 하야코는 "섬 전체가 요새가 될까 두렵다"고 말했다.

오키나와섬 류큐스대 가베 마사아키 명예교수는 "오키나와는 일본과 중국의 전쟁이나 분쟁의 최전선이 될 것"이라며 "50년이 지난 지금도 불안감은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자료 사진> 일본 도코 요쿄타 공군기지에서 PAC-3 지대공 미사일 발사 시스템 설치 훈련이 이뤄지는 모습.  © AFP=뉴스1
<자료 사진> 일본 도코 요쿄타 공군기지에서 PAC-3 지대공 미사일 발사 시스템 설치 훈련이 이뤄지는 모습.  © AFP=뉴스1

우려 고조는 군비 증강으로 이어진다.

데니 다마키 오키나와현지사는 지난 6일 기자회견에서 "대만사태가 일본의 우발사태가 될 것이라는 각국 의원들의 발언과, 오키나와를 무력충돌에 휘말리게 할 수 있는 '최근 논의'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오키나와 인구는 약 140만 명이고, 대부분은 오키나와섬에 거주한다.

이 같은 지역민의 우려를 고조시키는 최근 논의는 오키나와에 미사일을 추가로 배치하자는, 기시다 후미오 자민당 정부가 추진하는 방위정책을 말한다.  

미국은 동중국해 오키나와 미군기지에서부터 대만을 거쳐 남중국해 필리핀 미군기지까지 이어지는 대중국 미사일 공격망 구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작년 3월 알려져 논란이 커졌다.

기시다 정부도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오키나와 현지 지지가 필요하다. 지난해 3월 논란 당시 NHK 방송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집계된 오키나와 주민들의 미군기지 반대 의견은 56%.

오는 9월 있을 오키나와주지사 선거가 그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군사기지 축소를 내건 무소속 후보가 자민당을 상대로 출사표를 던졌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그러나 오키나와 주민들의 기대는 높지 않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오키나와섬 주민 시모지 토시아키는 "경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민당에 투표할 것"이라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기 때문에 더 많은 국방비가 지출될 것이고, 이는 더 많은 미사일을 의미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호주 멜버른대에서 국제관계학을 강의하는 올리비아 타세브스키는 싱크탱크 로위 인스티튜트 기고문에서 "일본 집권 자민당은 미군기지의 오랜 지지자이며, 기지가 존재해 재정적 이익을 얻는 오키나와 사람들도 일부 있어 반기지 운동이 일어난다고 해서 미군 주둔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 같진 않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2022년은 오키나와가 미국에서 일본 지배로 복귀한 지 50년이 되는 해이지만, 사실상 오키나와는 여전히 미국과 일본의 식민지로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 오키나와현 미야코섬 육상자위대 미야코캠프에 일장기가 게양된 모습. 2022. 4. 21. © 로이터=뉴스1 © News1 최서윤 기자
일본 오키나와현 미야코섬 육상자위대 미야코캠프에 일장기가 게양된 모습. 2022. 4. 21. © 로이터=뉴스1 © News1 최서윤 기자



sabi@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