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휘청거리는 해양레저도시 부산]<중>…100억 들인 마리나 폐허 전락

(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2022-01-31 07:00 송고
편집자주 부산은 우리나라 해양레저의 본거지다. 부산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신(新)해양산업 육성 등을 통한 '해양레저관광 명품도시'를 만들겠다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그러나 행정적 지원은 관련 산업을 이끌어가는 업계 의지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다. 뉴스1은 전문가와 업계 등의 목소리를 통해 부산지역 해양레저산업의 현 주소를 짚어보고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해 민관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30일부터 2월 1일까지 3회에 걸쳐 짚어본다.
문을 닫은 채 방치 돼 있는 송정마리나 모습.2022.1.30© 뉴스1 손연우 기자
문을 닫은 채 방치 돼 있는 송정마리나 모습.2022.1.30© 뉴스1 손연우 기자

최근 '서핑의 메카'로 떠오른 부산 해운대구 송정해수욕장에는 전국 각지에 온 동호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먹거리와 즐길거리가 풍성한 데다 동부산관광단지가 인근이어서 부산관광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오후 송정해수욕장은 연휴 탓인지 사람들로 북적였고 차량이 몰려들어 주차할 공간도 찾기 어려울 정도였다. 하지만 관광 명소 한쪽에 위치한 송정마리나는 활기찬 주변 분위기와는 달리 폐가처럼 방치돼 있었다.
마리나 입구는 펜스와 각종 자재들로 막혀 있었고 건물 곳곳에 유리창은 깨져 있었다. 부식된 건물과 콘크리트 파편까지 널부러져 있는 모습이 흉물과 다름 없었다.

부산 해운대구 구덕포길 3961㎡ 해상에 건립된 송정마리나는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부산시, 해운대구 등이 관광특구와 해양레포츠 활성화를 위해 민자 100억원을 유치해 2013년 7월 준공했다.

국내 최대규모의 종합 해양레저 스포츠타운을 내세우며 야심차게 문을 열었지만 이후 수차례 사업자가 바뀌면서 건물은 최근 경매에 넘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마리나 관계자는 "해양레저 사업은 계절을 타는 데다 레저객들이 찾지 않으면 망하는 사업이다. 벌써 몇 명이 망해서 나갔는지 모른다"며 "땅은 자지체 소유고 건물은 (민간)사업자 소유로 돼 있어서 대출도 어렵고 여러가지 제약사항이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사업 초기에는 지자체가 그럴듯하게 말을 해 놓고 시간이 지난 뒤에는 지원은 커녕 이런저런 규제로 사업자들이 버틸 수 없도록 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레저객들이 오면 건물 안에서 잠을 잘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해 놨으나 숙박업 허가가 안나는 상황이다. 외지에서 서핑이나 레저관광을 하러 오는 사람들이 머물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주면 좋은데 (지자체가)허가를 내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송정마리나 1층 바닥에 콘크리트 파편이 널부러져 있다.©2022.1.30 뉴스1 손연우 기자
송정마리나 1층 바닥에 콘크리트 파편이 널부러져 있다.©2022.1.30 뉴스1 손연우 기자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한 수영만 요트경기장에는 현재 500여 대의 요트가 계류 중이다. 총 면적은 23만803㎡로 전국 요트 계류시설 중 규모가 제일 크다.

그러나 내부에 선박주유소 하나 없고, 선주가 직접 기름을 공급하는 구조여서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다.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요트경기장으로 사용됐던 인천 소재 왕산마리나를 비롯해 국내 100여곳의 마리나에는 선박주유소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수영만 요트경기장은 건립된지 36년이 지난 시설로, 건물 곳곳은 낡을 대로 낡았고 표지판 등은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망가져 있다.

최근 요트대여업이 활기를 띄면서 요트체험을 하기 위해 관광객들이 이곳으로 몰려들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는 수십년째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재개발 문제'를 이유로 기본적인 시설조차 관리를 하지 않아 눈살을 지푸리게 하고 있다.

30일 계류장에서 만난 40대 선주 김모씨는 "이 큰 계류장 내부에 기름을 넣을 곳이 없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외국인 배들도 적지 않게 계류 중인데 수치스러운 일이다"고 말했다.

또 그는 "재개발이 될 때 되더라도 안전과 관계된 기본적인 시설은 보수를 해줘야되는데 시는 아무 생각이 없다. 사고가 나면 선주가 다 감당해야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계류비는 왜 받아가냐"며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복지부동이다. 부산지역 요트인으로서 부끄럽고 창피스럽다"고 말했다.


syw5345@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