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美 연준의 강한 매파 일성…韓 금리인상 압력 더 커진다

연준 "조만간" 금리인상 시사…"연내 금리인상 4회 이상" 전망
韓, 3차례 금리 올려…"미국 움직임에 추가 인상 서두를 수도"

(서울=뉴스1) 김성은 기자 | 2022-01-28 07:00 송고 | 2022-01-28 09:30 최종수정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지른 강한 매파적 일성(一聲)에 전 세계 금융시장은 순식간에 새파랗게 얼어붙었다. 연준이 금리 인상은 물론 전 세계 달러를 적극적으로 거둬들이는 소위 '양적긴축'(QT)마저 예고하며 조기 긴축 행보에 속도를 붙이자 전 세계 금융권은 미국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 횟수 전망을 대폭 늘려 잡는 분위기다.

우리나라는 미국에 앞서 이미 세 차례나 기준금리를 올린 터라 쫓기듯 금리를 인상하는 상황에서는 다소 비켜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미국의 빠른 긴축 행보에 우리나라 역시 일정 부분 발을 맞출 수밖에 없어, 올해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1.50%에서 높게는 2.00%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28일 한국은행 뉴욕사무소에 따르면 지난 25~26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를 두고 해외 주요 투자은행들은 대체로 예상에 부합했다는 평가를 내렸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이번 회의에서 현 수준(0.00∼0.25%)에서의 정책금리 동결, 3월 초 자산매입 종료 결정을 내렸다.

아울러 연준은 FOMC 성명에서 "조만간" 금리를 올리는 것이 적절하다며 다음 회의가 열리는 3월15~16일 미국의 금리 인상 랠리가 시작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연준은 또한 별도 성명을 통해 대차대조표 축소 원칙도 밝혔다. 금리 인상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이른바 '양적긴축'으로 시중의 달러를 적극적으로 거둬들이겠다는 뜻이다.

전 세계 이목이 집중된 것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다. 파월 의장은 FOMC 회의를 마치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금리인상 속도를 묻는 질문에 "민첩하게 행동해야 하며, 데이터에 따라 인도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기준금리를 매우 빠르고 유연하게 올릴 수 있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준이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강한 매파적 태도를 대대적으로 드러내자 금융시장은 크게 술렁였다.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은 연준 의장으로서 지금까지 발언 중 가장 매파적이었다"면서 "시장의 3월 금리인상 예상을 강하게 확인시켜 줬다"고 평가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금년 중 금리인상이 4회 이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향후 시장이 금년 중 6~7회 인상을 반영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올해 FOMC 회의로는 총 7차례가 남아 있는데, 매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회의 때마다 0.25%포인트(p)씩 오른다고 가정하면 미국 기준금리는 현행 0.00~0.25%에서 올 연말 1.75~2.00%로 대폭 뛰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인 1.25%보다 높은 수준이다. 우리나라로선 이미 지난해 8월부터 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올렸지만, 현행 1.25%로만 쭉 유지되다간 자칫 한미 간 금리 역전이 벌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일각에선 당장 오는 3월 FOMC 회의에서 미국 기준금리가 0.50%p나 뛰어오를 거란 전망도 나온다.

미국의 긴축 행보가 빨라질수록 우리나라 역시 금리인상 시계를 앞당길 가능성이 커지는 이유다. 금융권에서는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연내 1.50%에서 높게는 2.00%까지도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뉴스1>과의 통화에서 "미 기준금리 인상 횟수에 대한 시장의 컨센서스는 연내 4~5회정도"라면서 "일각에서는 7번 전망도 나오지만, 이는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마무리되는 시점의 금리 수준 자체를 더 끌어올린다기보다는 인상 시기를 앞당기는 선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당길 경우에는 우리나라 역시 추가 인상을 서두를 가능성이 크다"며 "다만 올해 3월로 임기가 마무리되는 이주열 한은 총재 후임으로 누가 오느냐가 향후 통화정책의 방향을 판가름할 변수로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sekim@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