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김희준의 교통돋보기]요소수만 교통대란? 전기차 '리튬' 83% 중국산

탄소중립땐 2030년 450만대 친환경차 운행…'수산화리튬' 리스크 커져
드론택시·전동킥보드 등 교통분야 미래먹거리 '흔들'…공급망 다시봐야

(세종=뉴스1) 김희준 기자 | 2021-11-10 07:00 송고 | 2021-11-10 09:50 최종수정
전국적으로 차량용 요소수 품귀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9일 오후 경기도 용인시의 한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에 트럭들이 요소수를 넣기 위해 길게 줄을 서 있다. 2021.11.9/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전국이 '요소수' 부족으로 힘들어하고 있습니다. 이름마저 생소한 요소수가 전국 220만대의 화물차 운전자와 노선버스를 포함한 전국 4만6000대 버스의 운행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밖에 요소수와 요소가 필요한 모든 곳이 아우성치고 있습니다.

◇중국산 100% 육박 요소수, 디젤버스 4.6만대·화물차 220만대 흔들어  
원인은 사실상 요소수의 국내 수요를 100% 가까이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 있습니다. 가장 먼저 직격탄을 맞은 것은 디젤차입니다. 디젤차에 설치된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엔 요소수가 떨어지면 운행을 할 수 없도록 프로그램돼 있습니다.

의견이 분분하지만, 환경부는 SCR의 이런 기능만 해제하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합니다. 일각에선 한번 해제하면 복구를 하기 힘들고, 이 경우 '탄소중립'이란 명제가 허물어질 수 있어 최대한 요소수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버스도 비슷합니다. 

종전과 같은 공급량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220만대에 달하는 디젤화물차는 2개월 안에, 디젤버스는 1개월 안에 운행이 제한됩니다.
물류대란과 교통대란이 순차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 셈이죠. 다행히 정부가 백방으로 다른 공급방안을 수소문 중이고, 최근엔 국내에서 수입업체가 보유한 2000톤의 요소를 찾아내기도 했습니다. 뒤늦게라도 정부가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찾아가는 모습입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은 우리가 중국의 공급에 의존하는 것 중에서 '제2의 요소수'가 될 만한 품목을 확실히 챙기고 있냐는 점입니다.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재료인 수산화리튬의 공급상황을 보면 해당품목이 제2의 요소수가 될 가능성이 다분합니다. 무려 83%의 공급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 국내 전기차 시장이 리튬배터리가 부족하다고 해서 교통대란을 일으킬 만큼 큰 규모는 아닙니다.

하지만 자동차산업의 축이 가솔린차량에서 수소차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로 이동하고 있고, 요소수의 쓰임처럼 전기차도 '탄소중립'과 같은 글로벌 친환경 기조에 따라 확산할 가능성이 큽니다.

◇배터리용 '수산화리튬' 중국 83% 수입…드론택시·전기차도 위험 

실제 정부의 탄소중립 계획안에 따르면 오는 2050년까지 90%가 넘는 국내차량을 친환경차량으로 유도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당장 9년 뒤엔 450만대의 친환경차 유도가 정부의 '탄소중립' 시나리오입니다.

2030년 450만대의 친환경차 중에 상당부분은 전기차일 가능성이 높겠죠. 이때 중국이 사실상 독점적 지위에서 공급하던 수산화리튬의 공급을 끊는다면 어찌 될까요. 당장 탄소중립에 맞춰 생산라인을 꾸렸던 자동차산업부터 타격을 입을 것 같습니다.

리튬배터리가 필요한 모든 차량과 전동킥보드에서 파생된 각종 퍼스널 모빌리티의 공급과 배터리 교환도 불가능하게 됩니다.

2025년 정부는 드론택시의 운행을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운송수단으로 개발된 택시형 드론은 리튬배터리를 사용합니다.

우리의 교통의 미래이자, 새로운 먹거리로 구상한 모든 것들이 중국의 공급망 차단으로 '제2의 요소수대란'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불안한 위치에 있던 셈입니다.

그렇다면 정부는 지금부터 무엇을 해야 할까요. 우선 외부의 공급망이 차단될 경우 국내에서 생산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나누어 중장기적인 공급전략을 새로 짜는 일이 급선무입니다.

적어도 우리 정부가 앞으로 요소수나 수산화리튬과 같은 공급망에 대해 다른 카드를 확실히 쥐고 있다면, 오늘과 같은 소요는 다시 일어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뉴스1
© News1 DB



h9913@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