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단독] 주요 방산업체 상대 해킹시도, 최근 1년새 '121만 건'

13개 주요 업체 총망라…방사청은 현황 파악도 못해
김병기 "사이버 안보 총괄할 기관 설치가 급선무"

(서울=뉴스1) 박상휘 기자 | 2021-10-12 09:14 송고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 News1 이지원 디자이너

우리나라 주요 방위산업체에 대한 해킹 시도가 최근 1년간 121만 건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방위산업체가 관리하고 있는 방위산업 기술 중 상당수가 국가연구과제로 개발된 만큼 방위사업청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방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 1일부터 올해 8월 31일까지 주요 방산업체 13개를 대상으로 총 121만 8981건의 외부 해킹 시도가 있었다.
해킹 대상은 기아(주)와 대한항공,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디펜스, 현대로템, 현대중공업, LIG넥스원, 대우조선해양, 한국항공우주산업, 한진중공업, 풍산 등 우리 주요 방산업체를 총망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인 해킹 경로는 웹 해킹시도 27만 8462건, 악성코드 감염 의심 트래픽 39만 2404건, 정보수집 시도 54만 8115건 등이다.

문제는 방사청이 해킹 관련 주요 현황을 파악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방위산업 기술 보호체계 구축과 운영 의무가 민간 방산업체에게 있다는 이유로 방사청이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다는 게 김 의원의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해와 올해 대우조선해양과 한국항공우주산업 등에서는 북한으로 추정되는 해킹 공격에 기술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방사청은 지난 8월 기술유출 사고 발생 시 방산업체에 최고 10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과태료를 5억 원까지 올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업체의 책임을 보다 중하게 여겨 기술 유출을 방지하겠다는 의도다. 다만, 책임을 개별 업체에 넘기고 자체 보안만 강화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김 의원은 "안보 위협 세력의 전방위적인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우리 기술과 기밀 자료를 지켜내려면 사이버 안보를 총괄할 기관을 설치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방위산업 기술은 막대한 국가예산이 투입된 국가 안보 핵심 전략 자산이므로 국가적 차원에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sanghwi@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