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금융권 vs 핀테크 대환대출 플랫폼 입장차…금융당국 "잠시 스톱"

"은행-핀테크 주장, 모두 설득력…의견수렴부터 충분히 할 것"
수수료·서비스시간 두고 이견 커…은행권 자체 플랫폼으로 선회

(서울=뉴스1) 송상현 기자 | 2021-07-05 06:25 송고
© 뉴스1
© 뉴스1

올해 10월 개설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을 두고 은행권과 핀테크업계간 입장 차이가 팽팽하다. 양측은 수수료, 운영 시간 등을 두고 이견을 보이다가 은행권이 자체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금융당국은 어떤 형태로 서비스를 시작할지 결정을 유보하고 충분한 의견 수렴을 거치기로 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과 관련한 주요 결정을 유보하고 은행권과 핀테크업체들을 상대로 충분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치기로 했다. 인프라 구축을 담당하는 금융결제원은 최근 은행권과 핀테크업체 등을 대상으로 대환대출과 관련한 주요쟁점과 관련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은행권은 물론이고 카드사, 캐피탈,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모든 대출 상품을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한눈에 비교해 손쉽게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금융결제원이 만든 인프라와 핀테크 업체의 플랫폼을 연결해 소비자들의 대환대출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금융당국이 신중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에 대한 금융권의 의지가 강한 데다가 양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대환대출 플랫폼에 대한 금융권과 핀테크 업체들의 관심이 상당한 상황"이라며 "양측의 주장이 모두 설득력이 있기 때문에 진행되던 것들을 잠시 멈추고 의견을 듣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10일 은행연합회 등 관련 협회 4곳과 핀테크업체 12곳을 만나 대환대출 플랫폼 운영 등에 관해 설명했다. 당시 토스, 카카오페이, 페이코 등 12곳의 핀테크 업체들은 플랫폼 운영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10월 은행권의 참여를 시작으로 시범운영에 들어간 뒤 2금융권의 합류를 거쳐 내년 상반기 본격적으로 운영되는 일정으로 추진돼 왔다. 

은행권과 핀테크사들의 입장이 갈리는 부분은 수수료다. 은행권은 핀테크 업체들에 제공하는 중개 수수료가 과도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반면 핀테크 업체들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은행권이 받고 있는 중도상환 수수료를 낮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비스 운영 시간도 쟁점이다. 은행권은 보안 문제 등을 이유로 대환대출이 은행 영업시간 내에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핀테크업체들은 비대면 서비스인 만큼 24시간 운영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핀테크 업체 관계자는 "국민 편의성 측면에서 도입되는 제도인 만큼 이용시간은 최대한 늘리고, 수수료는 줄이는 게 금융당국의 기조에도 부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은행권은 가속하는 빅테크의 금융업 침투를 경계하고 있다. 결국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은행권 자체 공동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금융위원회에 검토 의견을 전달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핀테크든 빅테크든 종속될 필요없다는 데 은행권이 의견을 같이해 은행권 공동 플랫폼에 대한 의견을 낸 것"이라며 "금융당국이 이를 허용해주지 않을 명분은 없다고 본다"고 했다.

양측의 견해차가 크다 보니 금융당국은 금융결제원이 공공플랫폼을 구축해 서비스를 시작하는 방안까지 제시해 놓은 상태다. 금융권과 핀테크 간의 입장 차를 반영한 일종의 중재안이다.


songss@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