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IBS, 결정핵의 탄생 순간 세계 최초 관찰

고체 재료가 형성되는 근본 원리 규명

(대전=뉴스1) 심영석 기자 | 2021-01-29 04:00 송고
전통적인 핵생성 이론(A)과 이번 연구에서 관찰한 핵생성 과정(B) (IBS 제공) ©뉴스1
전통적인 핵생성 이론(A)과 이번 연구에서 관찰한 핵생성 과정(B) (IBS 제공) ©뉴스1

한·미 국제 공동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핵생성 과정을 원자 수준에서 직접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기초과학연구원(이하 IBS) 나노입자연구단 박정원 연구위원(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한양대 ERICA캠퍼스 기계공학과 교수팀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와 공동연구를 통해 이같은 성과를 거뒀다고 29일 밝혔다.
원자의 크기는 수 옹스트롬(Å·백억분의 1m) 수준으로 작고, 밀리초(ms·1000분의 1초) 단위로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기존 기술로는 핵생성 과정을 직접 관찰하기 어려웠다.

핵생성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여러 이론이 등장했지만, 실험을 통한 증명에는 한계가 있었다.

공동연구진은 핵생성 과정을 원자 수준에서 실시간으로 관찰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했다.
우선, 원자 한 개 두께의 얇은 그래핀 막 위에 전자빔을 받으면 금 원자를 방출하는 나노 물질을 합성했다.

이후 합성된 시편을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가 보유한 세계 최고 성능의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하며 금 결정의 형성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했다.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해 관찰한 금 나노결정의 탄생 과정과 금 나노결정의 탄생 순간을 촬영한 고해상도 투과전자현미경 영상(IBS 제공) ©뉴스1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해 관찰한 금 나노결정의 탄생 과정과 금 나노결정의 탄생 순간을 촬영한 고해상도 투과전자현미경 영상(IBS 제공) ©뉴스1

투과전자현미경의 전자빔을 받고 방출된 금 원자는 그래픽 박막 위에서 뭉치며 나노결정을 형성한다.

관찰 결과, 안정적인 결정핵이 탄생할 때까지 원자들은 무질서하게 뭉친 덩어리 구조(비결정상)와 규칙적으로 배열된 결정 구조(결정상)의 두 상태를 가역적으로 반복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결정핵의 크기가 성장함에 따라 가역적인 반응은 비가역적으로 변했다.

결정핵이 처음부터 규칙적으로 정렬된 결정상으로 성장한다는 전통적인 핵생성 이론과 상반되는 결과다.

또, 연구진은 결정핵의 크기가 성장함에 점점 결정상 상태로 머무르는 확률이 높아진다는 점도 확인했다.

지름이 약 1nm일 때는 10%의 확률로 결정상 상태를 가졌지만, 지름이 약 2nm를 넘어가면 90% 이상의 확률로 결정상으로 존재했다.

즉, 처음엔 대부분 비결정상이었던 결정핵이 성장해 최종적으로는 결정상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밖에 연구진은 결정핵이 결정상으로 머무르는 시간이 길수록 더 큰 크기의 나노결정이 형성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예를 들어 2nm² 면적의 나노결정이 형성될 때는 절반 정도의 시간만 결정상 형태로 있었지만, 4nm² 면적의 나노결정이 형성될 때 결정핵은 대부분의 시간을 결정상 형태로 존재했다.

박정원 연구위원은 “물질 성장의 신호탄인 핵생성 과정의 새로운 원리를 발견함과 동시에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한 연구”라며 “핵생성에 관한 새로운 열역학적 이론을 제시했다는 학문적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1월 29일 오전 4시(한국시간)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km5030@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