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P2P업계 신뢰 저하·규제 강화 '이중고'…구조조정 칼바람

폐업·상환지연 잇단 사고사고에 법시행 후 영업규제 강화
1위 테라펀딩 인력 절반 줄어…다른 대형 업체들도 인력긴축

(서울=뉴스1) 김도엽 기자 | 2020-11-23 06:11 송고
© News1 DB
© News1 DB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금융)업계에선 폐업·상환 지연 등 잇단 사건 사고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가운데 지난 8월 법 시행 이후 강화된 영업 규제로 어려움이 가중되며 인력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고 있다.

23일 P2P금융업계에 따르면 누적대출액 기준 1위 P2P금융업체인 테라펀딩은 최근 인력 구조조정을 실시해 전체 임직원 수가 지난해말 140명에서 현재 77명으로 절반 줄었다.
테라펀딩은 당분간 연체율 관리를 위해 부동산 신규 대출을 축소하고 연체 채권 회수에 집중하는 등 내실 다지기에 나선다고 선언한 바 있다.

특히 내년 4월30일까지 P2P가이드라인에 따라 투자한도도 줄어 투자금 유치도 쉽지 않다. P2P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일반개인투자자의 투자한도는 동일차입자 500만원, 업체당 1000만원(부동산 관련 500만원)이다. 기존 업체당 2000만원(부동산 관련 1000만원)에서 투자한도가 반 토막 난 셈이다.

한도가 줄면서 업계가 투자금 모금에 차질이 생기기 시작했고, 신규 상품이 줄다 보니 고정비용인 인건비를 줄이는 쪽을 택한 것이다. 테라펀딩의 최근 월별 대출액 증가분은 지난 7월 120억원, 8월 85억원, 9월 68억원 등 매월 감소하고 있다. 전년 같은 기간 7월 570억원, 8월 240억원, 9월 270억원 대비 급감했다.
테라펀딩은 지난 20일 역삼동 SI타워에서 강남역 인근 공유오피스로 본사를 옮겼다. 긴축재정의 일환으로 임대료를 줄이기 위한 조치다. 테라펀딩 관계자는 "규제 완화가 이뤄질 때까지 길게 보고 선택한 것"이라며 "신규 대출을 줄이다 보니 관련 인력을 줄이는 등 고정지출비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라고 했다.

테라펀딩을 제외한 상위 업체들도 회사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는 수준에서 최대한 인력을 감축하고 있다. 한 P2P업체 관계자는 "채용에 완급 조절을 하고 있는 시기"라며 "P2P법 등 규제 변수가 시장 불확실성을 단기적으로 높인 상황이다 보니 이후 상황까지 고려해 채용 전략도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대출액을 늘리기 위해 일반개인투자자가 규제 한도에서 일부 자유로운 '소득적격투자자(이자·배당소득 2000만원 이상, 근로·사업소득 1억원 이상인 자)'로 전환하면 인센티브를 주는 업체들도 생겨나고 있다. 소득적격투자자의 투자한도는 동일차입자 2000만원, 업체당 4000만원이다.

P2P업계는 올해 팝펀딩, 넥펀, 블루문펀드 등의 돌려막기 사건·사고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 대상 동산담보업체의 투자금 상환 지연 등으로 투자자로들부터 외면받고 있다.

한 때 연체율 0%를 공시하던 탑펀드는 지난달 20일 돌연 폐업했다. 지난 7월부터 30여개 상품의 대규모 상환 지연이 이어지면서 손을 들어버린 것이다. 업체가 폐업했더라도 투자자와의 계약은 소멸되지 않으나 상환을 위한 관리 인력이 전무한 상황이라 최종 상환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대출잔액이 수십~수백억원에 달하는 업체 10곳 가량이 최근 폐업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정식 P2P업체로 금융당국에 등록함으로써 투자한도 확대와 이자소득 원천 징수세율(현행 25%→등록 후 14%) 혜택 등을 통해 신뢰 회복의 점환점을 맞기를 원하지만 제도권 진입 문턱을 넘기도 쉽지 않다.

금융감독원은 정식 P2P업체 등록에 앞서 12개 업체를 대상으로 사전 면담을 진행 중이다. 그런데 예상보다 P2P업체의 미숙함이 커 수정·보완 작업이 길어지다 보니 실제 등록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연내 정식 P2P등록 업체 탄생도 사실상 물건너갔다.

한 P2P업체 대표는 "감독원의 스탠스를 맞춰 버틸 수 있는 업체가 있을지 모를 정도"라며 "되던 사업도 안되고 불확실성만 커지고 있어 지금은 새로운 무엇을 하기 보다 버티는 쪽을 택하고 있다"고 했다.


dyeop@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