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솝우화 '까마귀와 물병' 삽화(밀로 윈터 그림, 1919년). © 뉴스1
호주 동부 섬들에 서식하는 까마귀들이 이솝우화 속 퍼즐을 풀어낼 만큼 영리함을 보여 과학자들을 감탄시켰다고 로이터통신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이 퍼즐은 평균적으로 7세 아이의 지능이 있어야 풀 수 있다. 뉴질랜드 오클랜드대의 사라 옐버트와 그의 동료 과학자들은 6마리의 '누벨 칼레도니아 까마귀'들을 대상으로 인지 능력을 실험했다. 학명이 '코르부스 모네둘로이데스'(corvus moneduloides)인 이 까마귀들은 뉴칼레도니아 군도의 본섬인 그랑드 테르(Grande Terre)에 서식한다. 이 까마귀들은 자연에서 도구를 사용할 줄 아는 유일한 비(非)영장류다. 잔가지를 부러뜨려 손질하고 잔가시가 있는 나뭇잎을 뜯어내 곤충을 건져내는 바늘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 까마귀들은 실험실에서 제공된 먹이에 닿기 위해 철사를 구부리기도 했다. 과학자들은 이 까마귀들을 대상으로 '까마귀와 물병'으로 알려진 고대 이솝우화 속에 나오는 과제를 부여했다. 이 이야기는 까마귀가 물병 바닥에 찬 물을 마시기 위해 궁리 끝에 돌을 물어다 물병 속에 던져 넣어 물 높이를 올린 후 물을 마시는 데 성공한다는 내용이다. 옐버트와 그 동료들은 까마귀들에게 돌을 던지도록 훈련시킨 후 코르크에 부착한 고기조각을 투명한 시험관 2개에 각각 깊숙이 넣어 까마귀의 부리가 닿지 않게 설정했다. 까마귀들은 영악했다. 하나는 모래를 채우고 다른 하나는 물을 채운 시험관 중에서 까마귀들이 물이 든 시험관에 넣은 돌의 비율이 76%였다. 돌 대신 물에 가라앉는 고무와 물에 뜨는 플라스틱에 주어졌을 때도 까마귀들의 선택 중 90%는 고무를 떨어뜨리는 쪽으로 몰렸다. 속이 빈 물체와 속이 찬 물체에 대한 실험에서도 마찬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시드 교수는 "까마귀들이 단단한 물체를 넣으면 수위가 바뀐다는 점은 물론 그 이유도 이해했다"고 말했다. 다만, 까마귀들은 물 높이는 같고 폭이 넓은 시험관과 폭이 좁은 시험관 사이에선 현명한 선택을 하지 못하고 폭이 넓은 시험관 쪽에 더 많은 돌을 떨어뜨렸다.
acenes@news1.kr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핫뉴스오늘의 핫 포토 |
홈 > 국제 > 지구촌화제
이솝 퍼즐 푼 까마귀… 지능 7세 아동수준 '인증'
(뉴욕 로이터=뉴스1) 김정한 기자 |
2014-03-27 22:29 송고 | 2014-03-28 05:44 최종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