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KAI, 항공소재 81종 국산화 성공…"900여종 대체 목표"

900여종 대체 성공시 7500여억원 효과 기대

(서울=뉴스1) 이장호 기자 | 2022-10-14 09:46 송고
정유인 KAI 재료공정팀 팀장이 13일 항공 소재 국산화 추진경과 및 적용 확대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KAI 제공)
정유인 KAI 재료공정팀 팀장이 13일 항공 소재 국산화 추진경과 및 적용 확대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KAI 제공)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항공소재 총 81종의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KAI는 13일 경남 사천 본사에서 ‘항공소재개발연합’의 국산화 개발 성과 결과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항공소재개발연합은 2019년 국내 항공우주산업 발전과 소재 국산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을 목표로 출범된 후 현재 KAI를 포함해 총 37개 업체‧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연합체다,

항공소재개발연합은 소재 국산화를 추진한 결과 알루미늄 압출재와 티타늄 압연재, 분말 등 항공소재 30여 종과 기계류, 전장류, 배관류의 표준품 50여 종 등 현재 총 81종의 국산화에 성공하는 성과를 거뒀다.

KAI는 1800여 종의 소재와 표준품 중 2030년까지 사용 빈도가 높은 상위 50% 품종(900여 종)을 국산 소재로 대체한다는 목표다. 대체 성공 시 7500여억 원 상당의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KCC에서 개발 중인 기능성 도료, 프라이머 등이 국내 개발 항공기 양산에 적용된다면 향후 약 100억원 절감이 가능하다는 게 KAI 측 설명이다.

또 KAI는 정부 기관과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국산 항공소재에 항공산업 납품실적을 제공해 록히드마틴, 보잉, 에어버스 등 선진 항공사들의 소재부품 공급업체로 수출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군수품 뿐 아니라 민항기 기체 부품도 국산화 소재를 적용한다. 작년부터 KAI는 세아창원특수강과 민수용 날개 단조품 개발에 자체 투자해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고, 올해 고객사로부터 초도품검사 승인을 받아 양산에 착수할 계획이다.

강구영 사장은 “항공 소재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라며 “국산 소재가 해외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품목 확대와 개발을 도와 미래 무인기, 도심항공교통(UAM), 위성, 발사체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ho86@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