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정부 초대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지명된 한기정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2022.8.19/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의 '규제 혁파' 의지에 따라 '경제검찰'로 불리던 공정위의 역할이 약화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 '기업 저승사자'로까지 불리던 것에서 전환해 각종 규제완화의 중심이 될 전망이다.
22일 정·관가 등에 따르면 한 후보자는 시장에서의 반칙 행위를 엄단한다는 공정위의 기본 업무에는 동의하지만, 기업에 대한 불필요한 규제를 과감히 없애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한 후보자는 지명 다음날인 지난 19일 출근길에서 "시장경제가 효율성과 공정성이 담보될 수 있도록 제도를 설계하고 불필요한 규제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혁신을 통해 없애야 한다"며 "이 부분에 방점을 두고 향후 위원장으로 취임하면 공정거래 정책을 추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마음껏, 자유롭게 기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민간이 끌고 정부가 뒷받침하는 시장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정위는 시장경제가 효율성과 공정성이 뒷받침되고 불필요한 규제가 혁파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
윤석열 정부 초대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지명된 한기정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1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2022.8.19/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
지난 문재인 정부에서 공정위는 기업의 불공정 행위를 처벌하는 최일선에 있었다. 초대 위원장인 김상조 전 위원장은 기업집단국을 신설하는 등 강력한 대기업 규제에 나섰다.
하지만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인 '민간 주도의 혁신성장'에 맞춰 공정위의 기업 규제 기능 역시 약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열 정부가 국정 과제로 제시한 경쟁 제한적 규제 개혁, 신속한 기업 인수합병(M&A) 심사, 합리적 기업집단(대기업) 규율 등의 추진에 한 후보자가 속도를 낼 전망이다.
앞서 공정위도 지난 16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기업 처벌보다는 기업의 신속한 피해 구제와 자율적 분쟁 해결에 초점을 맞춘 '공정거래법 집행 혁신 방안'을 보고했다. 또 최근 대기업 총수(동일인) 친족 범위를 축소하는 공정거래법 시행령을 입법 예고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대기업 규제의 핵심 역할을 하는 기업집단국의 조직과 역할 또한 축소될 것으로 점쳐진다. 당장 내달 30일 평가 기간이 끝나는 기업집단국 내 지주회사과는 폐지가 검토되고 있다.
이외에 전 정부에서 진행했던 했던 온라인 플랫폼 규제 역시 자율규제로 선회할 전망이다. 현재 공정위는 관계부처와 함께 '플랫폼 자율규제' 방안을 만들기 위한 민간 협의기구를 구성해 관련 논의를 진행 중이다.
한편 한 후보자 청문회는 다음달 중 진행될 전망이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라 국회는 후보자에 대한 임명 동의안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안에 심사 또는 인사청문회를 마쳐야 한다. 시한을 넘기면 대통령은 10일 이내 범위에서 기간을 정해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재송부를 국회에 요청한 뒤 임명을 강행할 수 있다.
한 후보자가 공정위원장에 임명되면 권오승, 정호열 전 위원장에 이어 10여년 만에 법학자 출신이 수장을 맡게 된다.
ir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