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은행 경쟁 붙여 금리 낮추라" 尹 아이디어 통했다…'대출 갈아타기' 인기

윤석열 대통령 지시로 세계 최초로 도입…"디지털 혁신 활용해 성과"
주담대 갈아타기 흥행 지속…은행별 취급 한도 늘어나나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2024-01-21 06:40 송고 | 2024-01-21 10:42 최종수정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상생의 금융, 기회의 사다리 확대'를 주제로 열린 네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1.17/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상생의 금융, 기회의 사다리 확대'를 주제로 열린 네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1.17/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지난 9일부터 시작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갈아타기' 서비스 열기가 뜨겁게 이어지고 있다. 이용자들은 서비스가 시작되는 오전 9시에 맞춰 '모바일 오픈런'까지 벌이는 상황이다.

갈아타기 서비스는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시작됐다. "은행 간 금리 경쟁으로 대출 이자를 낮추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로 첫발을 뗐다. 
금융당국 내부에서도 호평을 받는 분위기다. 디지털 혁신을 통해 정부의 재정 부담 없이 국민들의 이자를 절감할 수 있는 정책이라는 평가다.

◇ "은행 경쟁→금리 인하"… 尹 아이디어 통했다

주담대 갈아타기의 정식 명칭은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서비스다. 그간 이용자가 대출을 바꾸기 위해선 직접 여러 은행을 방문해 대면 상담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금융당국은 모바일 앱을 통해 이용자가 은행 방문 없이도 더 좋은 조건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했다.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는 윤 대통령의 아이디어였다. 윤 대통령 주재로 지난 17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민생 토론회에서 김주현 위원장은 업무보고를 통해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확대할 것"이라며 "이 제도는 대통령님 지시에 의해 세계 최초로 도입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금리인상기를 맞아 은행들이 역대급 실적을 거두자 일각에선 서민을 상대로 이자 장사를 벌인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윤 대통령은 은행 수익의 대부분이 대출 이자인 점을 지적하면서 "국민들이 은행별 대출 금리와 조건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금융권 돈 잔치'의 원인을 독과점에 따른 경쟁 부재로 진단했기 때문이다.

이용자가 더 낮은 금리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온라인 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가 주택담보대출(주담대)까지 확대·적용됐다. 2024.1.9/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이용자가 더 낮은 금리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는 '온라인 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가 주택담보대출(주담대)까지 확대·적용됐다. 2024.1.9/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 스마트폰 클릭으로 이자 절감…출시 나흘 만에 1조 몰려


서비스 효과는 이미 입증됐다. 스마트폰 클릭 몇 번이면 수백만~수천만원의 대출 이자를 아낄 수 있는 서비스가 출시되자 이용자들이 몰려들었다.

금융당국은 서비스 출시 나흘째인 지난 12일 총 5657명이 신규 주담대 신청을 완료했으며, 신청이 완료된 대출액은 1조307억원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은행 간 금리 인하 경쟁에도 불이 붙었다. 갈아타기가 완료된 대출의 평균 금리 인하 폭은 1.5%포인트(p)로 집계됐다. 단순 계산해 1인당 연간 337만원의 이자를 아낄 수 있는 셈이다. 

금융당국 내부에서도 호평이 나온다. 신장수 금융위 중소금융과장은 지난 17일 금융정책 업무보고에 참석해 "금융권의 디지털 혁신을 기반으로 정부 재정 지원 없이 소비자가 비용 절감하는 아주 좋은 제도다"고 말했다.

◇ 주담대 갈아타기 흥행에 취급 한도 늘어나나

주담대 갈아타기 흥행이 지속되자 일각에선 금융당국이 '한도 증액' 카드를 꺼내 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금융당국은 대출이 특정 은행으로 과도하게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회사별 주담대 취급 한도를 설정했다.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주요 은행들의 한도는 연간 2조원, 월 1600억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앞서 금융당국은 "이자상환 부담을 절감하려는 소비자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한도 제한 등) 리스크 관리방안을 탄력적으로 운영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금융당국 관계자는 한도 변경 계획에 대해 "아직 서비스 출시 초기"라면서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는 없다"고 말했다.


ukgeun@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