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취약계층에 폭염·한파 문자 직접 발송 …기후위험지도 나온다

제3차 기후위기 수정보완 대책 발표…기후위기 취약계층 첫 실태조사
야외근로자 온열·한랭 질환 예방책 마련…해수면 상승에 방파제 추가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2023-06-16 10:19 송고
2023~2025년 제3차 기후위기 적응 보완대책(환경부 제공) © 뉴스1
2023~2025년 제3차 기후위기 적응 보완대책(환경부 제공) © 뉴스1

기후위기 적응을 위해 '기후위험지도'가 제작된다. 농어촌 노인 등 취약계층의 피해를 막기 위해 기존에 마을 방송 등을 통해 전파되던 폭염·한파 예보가 문자로도 전송된다.

환경부는 최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제3차 기후위기 적응 수정보완 대책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제3차 기후위기 적응 대책은 관계부처 합동으로 2021년 발표됐는데, 여기에 기술개발 촉진과 취약계층 보호 강화, 기후 적응형 공간 조성 등을 추가해 이번 수정보완 대책을 내놨다. 이 대책은 2025년까지 추진된다.

환경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전국 기후위험지도를 구축한다. 부처별로 작성한 도시 침수 및 홍수 위험, 가뭄 취약, 해안침수 예상 지역 지도를 종합하고 보완해 집중호우 및 가뭄, 태풍 등 위험요인별 지도를 만들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2025년 이후 종합플랫폼으로 구축해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내년에는 처음으로 기후위기 취약계층 실태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보호 대책 마련을 위해 취약계층의 유형별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기후재난 노출 실태와 적응 역량 정도를 확인한다. 이를 토대로 2025년까지 취약계층 보호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2027년까지 지자체별로 실태조사를 하도록 할 방침이다.
취약계층이 확인되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기후위기 취약 노인을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야외 근로자의 온열·한랭질환 예방을 위한 적응 수단도 발굴한다.

환경부는 질병관리청, 기상청과 함께 전국 500개 응급의료기관을 통해 야외 근로자·고령자에 대한 폭염·한파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폭염·한파를 전파해온 농어촌 등의 마을방송은 문자로도 전송돼 전달체계를 확대한다. 정부는 이와 함께 기후·인구를 감안해 기후변화에 따른 질병부담도 예측해 국가적 부담을 가늠할 예정이다.

지난해 8월 14일 오후 경기 과천시 서울대공원 주차장에 마련된 보험사 침수차량 집결 장소에 서울 등 수도권에서 침수 피해를 입은 차량이 모여있다. © News1 구윤성 기자
지난해 8월 14일 오후 경기 과천시 서울대공원 주차장에 마련된 보험사 침수차량 집결 장소에 서울 등 수도권에서 침수 피해를 입은 차량이 모여있다. © News1 구윤성 기자

해양수산부는 해수면 상승과 태풍 상륙 등에 대비하기 위해 항만 외곽에 방파제를 추가로 쌓는 등 외곽시설을 보강할 계획이다. 재해에 취약한 지역에는 승강식 방호벽, 경사식 방재언덕, 플랩 게이트 등 신 공법을 활용한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항만·어항 설계 기준'을 개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2027년까지 방재연구센터를 설립할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현재 333종인 기후적응형 작물을 2025년까지 363종까지 확대하고, 스마트 온실은 지난해 기준 7000㏊에서 2027년 1만㏊로 늘린다. 농식품부는 2026년까지 전남 해남에 농식품 기후변화대응센터도 설립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후 적응기술개발 로드맵을 최초로 체계화할 방침이다.

기상청은 2025년 이후 AI 도시침수예보센터를 설치한다.

금융위원회는 금융계가 기후리스크 관련 대응체계와 ESG 공시 의무화를 2030년까지 추진한다.

정부는 제3차 기후위기 수정보완 대책안을 이달 중 확정하고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심의를 거칠 전망이다. 이후 9월까지 부처별 세부이행 과제 및 연차별 추진 계획을 수립해 공개할 계획이다.


ace@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